티몬은 최근 대표의 업무지휘 체계를 확립하고 독립경영체제를 갖추겠다고 밝혔다. 자금관리와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한 재무·자금 조직을 구축하고, 고객들의 구매를 지원하는 결제조직과 법무조직 등을 구성해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특히 류광진 대표가 직접 나서 전 쇼핑 카테고리를 아우르는 상품본부를 직접 진두지휘한다고 강조했다.
위메프 역시 플랫폼 정상화를 위해 움직이고 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밝혀진 것은 없지만 티몬과 비슷한 방식으로 나설 것이라는 게 업계 관측이다.
양사 모두 정상화를 위한 초석을 다지고 있는 셈인데, 현실화 될 가능성은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판매자들에 신뢰를 잃은 데다 자금 부족으로 피해구제도 더딘 가운데 이런 정상화 작업이 성공적으로 될 리가 만무하다는 것이다.
피해 규모는 디지털·가전 분야에서 가장 컸다. 4607개 업체가 3708억원을 정산 받지 못했다. 뒤이어 상품권(3228억원), 식품(1275억원), 생활·문화(1129억원), 패션·잡화(801억원), 여행(795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 업체의 90.4%는 미정산금액은 1000만원 이하다. 미정산 금액이 1억원 이상인 업체는 981개사로 이들이 미정산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1%에 달했다.
일각에서는 티몬과 위메프가 그럼에도 정상화를 추진하는 것은 배임혐의를 피하기 위한 움직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티몬과 위메프의 경영진들은 현금 부족을 인지했음에도 입점업체와 계약을 유지하고 상품을 판매해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횡령·배임 혐의를 받고 있다. 또 환불이 어려운 상황임을 알고도 이를 알리지 않고 판매를 계속한 혐의 등을 받는다.
현재 티메프 사태는 구영배 큐텐 대표와 류광진 티몬 대표, 류화현 위메프 대표 등의 불협화음으로 총체적난국이다. 구 대표는 티몬과 위메프를 합병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KCCW’라는 이름의 신규 법인 설립을 법원에 신청했고, 류광진 대표와 류화현 대표는 각자도생에 돌입했다. 이런 점만 봐도 각 회사의 정상화는 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마음 한 뜻으로 힘을 모아도 사태 해결이 힘든 마당에 각자 다른 의견을 내고 있어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미 신뢰가 추락한 만큼 사업 정상화도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