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세계관·논타겟팅 슈트 체인지 액션으로 차별화
“아레스 올해 최고 대작, 그에 걸맞는 성과 낼 것”
이미지 확대보기카카오게임즈 '아레스: 라이즈 오브 가디언즈' 미디어 체험회 현장 사진. (좌측부터) 김태형 카카오게임즈 사업실장, 이시우 카카오게임즈 CBO, 김기범 세컨드다이브 TD, 김태우 세컨드다이브 시스템 기획실장, 권태균 세컨드다이브 컨텐츠 기획실장. / 사진=이주은기자
[한국금융신문 이주은 기자] 카카오게임즈(대표 조계현닫기조계현기사 모아보기)는 올 하반기 야심작 MMORPG(다중 접속 역할수행 게임) ‘아레스: 라이즈 오브 가디언즈’ 출시일을 오는 7월 25일로 확정했다. 기존 MMORPG와 차별화된 SF 세계관과 논타켓팅 슈트 체인지 액션 등을 앞세워 시장 공략에 나선다.
카카오게임즈는 10일 서울 송파구 잠실 아프리카TV 비타 500 스튜디오에서 ‘아레스: 라이즈 오브 가디언즈’ 미디어 체험회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에는 이시우 카카오게임즈 CBO, 김태형 카카오게임즈 사업실장, 김기범 세컨드다이브 TD, 김태우 세컨드다이브 시스템 기획실장, 권태균닫기권태균기사 모아보기 세컨드다이브 콘텐츠 기획실장 등이 참석했다.
이 게임은 ‘다크어벤저’ 시리즈를 개발한 반승철 대표가 세컨드다이브를 설립하고 3년 반 이상의 개발 과정을 거쳐 선보이는 PC·온라인 크로스플랫폼 MMORPG다.
보통 MMORPG가 중세 시대 세계관에서 착안하는 것과 달리 미래와 판타지가 융합된 독특한 시나리오를 택했다. 이용자는 고대 수호자와 함께 지구를 지키는 가디언이 돼 다양한 콘셉트와 특징이 살아있는 태양계 행성을 탐험하고 전투를 펼친다.
김태우 세컨드다이브 시스템 기획실장은 “미래를 기반으로 한 세계관을 기존 이용자들이 낯설게 느끼지 않을까 많이 고민했다”며 “밸런스를 잡기 위해 노력했고 현대적인 콘셉트부터 기존 MMORPG의 판타지적 요소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게임에 녹여내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세컨드다이브는 이용자들이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친숙함과 동시에 창의적인 콘셉트로 신선함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메인 퀘스트를 포함해 모든 콘텐츠를 SF 세계관을 중심으로 제작했고, 지형지물이나 다양한 탈 것을 활용한 유니크한 전투에 스토리를 결합해 이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세계관을 즐기게끔 했다.
세컨드다이브는 국내 게임 중 SF 세계관을 택한 사례가 몇 안 되는 만큼 게임 개발 과정에서 어려움도 있었다고 말했다.
권태균 세컨드다이브 콘텐츠 기획실장은 “SF라 어려움이 있었지만 흥행하고 있는 해외 여러 게임들과 영화들을 참고했다”며 “마블 등 여러 SF 흥행작이 나오면서 허들이 낮아졌다고 생각하고, 이용자들에게 생소한 맛이 아니라 익숙한 맛 위에 새로운 맛이 무엇일지 고민하면서 그 부분을 게임에 녹여내려고 노력했다”고 했다.
슈트 체인지도 아레스의 핵심 요소 중 하나다. 전투 중에 다양한 슈트를 실시간으로 교체하는 태크 매치 방식으로 설계돼 슈트별 스킬 사용 방식에 따라 전투 양상이 달라진다.
MMORPG인 만큼 수익 모델(BM)에 대한 질문도 여럿 나왔다. 카카오게임즈는 합리적인 수준의 수익 모델을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저과금으로 좋은 아이템을 얻을 수 있도록 했고, 아레스 핵심 요소인 슈트 성장에 쓰이는 재료는 과금과 분리했다.
김태형 카카오게임즈 사업실장은 “아레스가 3가지 슈트를 체인지하는 액션 기반이기 때문에 과금이 부담스러울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며 “인게임에서 파밍이나 제작을 통해 게임 성장 요소를 얻을 수 있도록 했다. 전체적으로 과금에 대한 부분과 성장에 대한 부분이 인게임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5:5 수준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뽑기 모델이 아예 없다고 말씀드리긴 어렵다”며 “슈트 3종이 이용자들에게 곱하기 3이 아니라 나누기 3의 역할을 하도록 설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