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제출한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중도해지자는 68만4878명으로 집계됐다. 상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최초 가입자가 289만5546명인 것을 고려하면 중도해지율이 23.7%에 달한다.
당시 정부는 가입자 규모를 38만명으로 예측했으나 높은 금리 수준에 300만명에 가까운 가입자가 몰렸다. 출시 초기 가입 신청자가 폭주하면서 일부 은행의 모바일뱅킹 앱 접속이 지연되기도 했다.
청년희망적금 해지 현황을 납입 금액대별로 보면 금액이 적을수록 중도해지율이 높았다. '1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해지율은 49.2%로 가장 높았고,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48.1%, '20만원 이상~30만원 미만' 43.9%, '30만원 이상~40만원 미만' 40.3%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나이가 적을수록 중도해지율이 높았다. 가입 상한 연령인 만 34세의 중도해지율은 21.2%인 반면 가입 하한 연령인 만 19세의 해지율은 27.9%에 달했다.
중도해지율이 높은 건 고물가·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청년들의 저축 여력이 줄고 지출 변수가 많은 20·30세대의 급전 수요가 맞물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은 이런 점을 고려해 비슷한 정책 목표 아래 최근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해지를 방지할 방안을 추가 논의하고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총급여 7500만원 이하 19~34세 청년이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연 5000만원 안팎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5년 만기 적금이다.
윤석열닫기

개인소득 수준 및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가 월 최대 2만1000∼2만4000원을 기여금 형태로 보태주고,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도 제공한다.
금융당국은 청년도약계좌 적금 유지율 목표치를 70%대 중반으로 잡고 있다. 앞서 금융당국은 청년층이 만기까지 계좌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금담보부대출을 운영하고, 햇살론 유스 대출 시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방안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더해 추가적인 적금 유지 방안을 위한 연구 용역에 착수했다. 매월 쌓이는 정부 지원금과 이자 수준을 은행 계좌나 앱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산 시스템도 개발하고 있다.
강민국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수시로 상품을 점검해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실질적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