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는 청년도약계좌 운영 사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날 청년도약계좌 운영 사전 점검회의는 7개 취급기관 부행장, 서민금융진흥원, 은행연합회, 금융연구원 등과 함께 준비상황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청년도약계좌 취급기관 및 관계기관에 당부를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납입하는 5년 만기 적금상품으로 정부 기여금과 이자소득 비과세를 제공해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한다. 만 19~34세 청년 중 개인소득 기준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개인소득 수준 및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매칭지원하고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을 제공한다.
개인소득 기준은 총급여 기준 6000만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지급·비과세 적용, 총급여 기준 6000~7500만원은 정부기여금 지급 없이 비과세만 적용되며 가구소득 기준은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에 해당된다.
청년도약계좌는 12개 은행에서 취급하게 된다. 해당 은행은 농협·신한·우리·SC제일·하나·기업·국민·부산·광주·전북·경남·대구은행 등이다. 각 취급기관별로 청년도약계좌의 기본금리를 비롯한 저소득층 우대금리, 예적금담보부대출 가산금리를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 다음달 8일 1차 공시하고 12일 최종 공시하는 등 운영을 준비해 나갈 예정이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청년도약계좌가 청년들의 높은 기대에 부응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청년도약계좌 취급기관과 관계기관에 필요한 사항을 당부했다. 청년도약계좌 취급기관에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이라는 취지가 구현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지원하고 청년도약계좌 운영에 있어 미래세대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측면을 고려해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은행연합회에는 취급기관별 금리 공시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청년들이 상품을 충분히 이해하고 가입하기 위해 기본금리 외에도 저소득층 우대금리, 예적금담보부대출 가산금리도 공시할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청년도약계좌가 청년 자산형성 지원의 ‘백년대계(百年大計)’로 확고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금융권 및 관계기관에서 협력하고 정부 역시 운영 준비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지속적으로 살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이후 각 취급기관 및 관계기관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운영 준비상황과 운영 관련 건의사항 등을 설명하면서 청년도약계좌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