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장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금융당국은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를 활용한 편익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디지털 금융이 제기하는 새로운 위험에 대비해야 하는 어려운 도전에 직면해있다”고 밝혔다.김 위원장은 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3 한국금융미래포럼 : 금융대전환, 새도약 길을 찾다’에서 “스마트폰의 확산과 AI, 블록체인,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신기술의 활용은 금융의 작동 방식 뿐 아니라 금융산업의 모습과 경쟁 구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모바일․인터넷 등을 통해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손쉽게 비교할 수 있고 가입 또는 해지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보 비대칭과 거래비용 문제가 완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핀테크, 빅테크 등이 기존 금융기관에서 포괄적으로 제공하던 서비스를 기능별로 세분화해 경쟁력 있는 개별 서비스로 대체하고 있다”며 “이와 동시에 다양한 주체가 제공하는 금융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화도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규모와 범위의 경제 및 네트워크 효과가 더 커지고 있다고도 했다. 김 위원장은 “디지털을 통한 금융 서비스는 플랫폼을 통해 많은 사람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며 “이런 다양한 서비스로 더 많은 고객을 끌어들이는 네트워크 효과가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산업은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금융과 비금융의 경계가 모호한 빅블러(big blur) 현상이 점차 확대되는 가운데 빅테크·핀테크 등 비금융 IT 회사와 기존 금융회사가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경쟁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미국의 애플이 금융회사와 제휴해 애플페이, 애플카드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한국의 인터넷전문은행들이 라이선스를 취해 기존 은행들과 경쟁하는 것이 단적인 예”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러한 위험요소들은 관계당국이 단순히 기존 규제를 일부 개선해 새로운 기술 환경에 적용하는 것 이상의 규제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김주현 금융위원장 “금융당국, 디지털 금융 촉발 위험에 대비해야” [2023 한국금융미래포럼]](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52410252802772de68fcbb35175114235199.jpg&nmt=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