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가 대비 연말 종가 평균수익률은 -(마이너스)1.4%로 최근 5년중 가장 낮은 수준에 그쳤다.
인플레이션, 주요국 통화긴축, 지정학적 갈등 등 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2022년 IPO 기업(70사)은 전년(89사) 대비 21.3% 줄었다.
2022년 IPO 공모금액(15조6000억원)은 전년(19조7000억원) 대비 20.7% 감소했다. 이는 2018년 이후 감소세 전환이다.
대형 IPO 감소는 공모금액 감소 주요 원인이 됐다.
공모금액 1조원 이상의 대형 IPO는 LG에너지솔루션 1사(12조7500억원, 2022년 1월27일 상장)수준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2년 글로벌 기준 최대 공모금액 IPO다.
1000억원 이상~1조원 미만도 더블유씨피(4320억원), 수산인더스트리(2000억원), 성일하이텍(1335억원), 쏘카(1019억원) 등 4사로 전년(11사) 대비 줄었고, 주로 500억원 미만(57사) 위주로 상장했다.
미국 등 주요국 IPO 시장동향도 유사하게 대형 IPO가 부진했다고 금감원 측은 설명했다.
2022년 IPO 철회건수(SPAC 제외)는 13건으로 전년(2건)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최근 5년중 최대치에 해당한다. 투자심리 위축, 수요예측 흥행저조가 주요 철회사유다.
철회기업의 IPO 규모는 주로 1000억원~약 1조원(8건)이며, 업종은 건설업, 바이오, 통신판매업, IT 등 다양하게 분포했다.
수요예측 참여기관 수는 976개사로 23.2% 줄었고, 수요예측 경쟁률도 836대 1로 29.9% 떨어져 모두 전년 대비 하락했다.
수요예측 경쟁률 하락 등으로 공모가격이 밴드(발행인의 공모가 희망범위) 상단 이상에서 결정된 비중이 86.5%에서 54.2%로 급감했다. 하단 이하 결정비중도 13.4%에서 42.9%로 증가했다.
기관투자자 경쟁 둔화 등으로 의무보유 확약 비중이 22.3%로 전년(33.6%) 대비 떨어졌다.
운용사(펀드)에 가장 많이 배정(39.6%)되었고, 외국인(26.4%), 기타(투자일임업자·저축은행 등, 24.3%), 연기금·은행 등(7.5%), 투자매매·중개업자(2.3%) 순으로 배정됐다.
2022년중 일반투자자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775대 1로 전년(1136대 1) 대비 31.8% 줄었다.
일반투자자 청약증거금(총 587조원, 평균 8조4000억원)도 2021년(총 784조원, 평균 8조8000억원) 대비 25.1% 감소했다.
상장 이후 평균수익률을 보면, 2022년 공모가 대비 상장 당일의 종가 평균수익률은 27.7%로 전년(57.4%)의 절반 수준이었다.
공모가 대비 연말 종가 평균수익률은 -(마이너스)1.4%로 전년(54.8%)과 대조되며 최근 5년중 가장 낮은 수준에 그쳤다.
코스닥 특례상장기업은 총 29사로 전년(36사) 대비 줄었고, 전체 코스닥 상장법인 감소분(9사)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금리인상 등으로 투자자들의 위험회피성향이 높아지면서, 성장성 등 미래가치에 대한 평가가 보수적으로 변화한 영향으로 풀이됐다.
금감원은 "적정 공모가 산정 유도 등을 위해 추진중인 수요예측내실화, 허수성 청약방지, 공모주 주가 급등락 방지 등 'IPO 건전성 제고방안'의 원활한 정착을 지원하는 한편, IPO 이후에도 투자자가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상장기업 경영현황 관련 중요 정보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도록 심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