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서효문 기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롯데케미칼 위기 타파 선봉장으로 오너 3세인 신유열 롯데케미칼 상무보(사진)와 박인구 롯데케미칼 전지소재사업부문장이 주목받고 있다. 양 인사는 롯데그룹 ‘2023년 정기 임원인사’에서 나란히 승진, 내년 그룹 화학군 전지소재사업단에서 함계 활동해 이차전지소재 사업 육성을 이끌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해당 인사에서 가장 관심이 쏠리는 사람은 신유열 상무보(2023년 1월 상무 내정)다. 지난 5월 롯데케미칼 동경지사 부임한 그는 지난 8월부터 베트남·일본 등 신동빈닫기신동빈기사 모아보기 회장의 해외 출장에 동행하면서 주목받았다. 롯데 관계자는 “신 상무보는 그동안 수소·전지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협력 및 신사업을 강화한 점을 인정받아 승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인사로 지난 2년간 그림자 행보를 했던 신 상무보의 2023년은 매우 주목도가 커졌다. 롯데케미칼의 전지소재 등 신사업 강화 등을 이유로 연말 인사에서 승진, 그룹 미래 먹거리를 지휘할 것이라는 전망이 커져서다.
재계에서는 내년 2월 일진머티리얼즈 인수가 마무리된다면 그가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점친다. 신 상무보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신사업 발굴 능력이 높게 평가받는 가운데 향후 한국 지사로 자리를 옮겨 경영 수업 겸 역할이 확대될 수 있다는 예측이다.
다행히 신 상무보에는 연말 인사에서 동시 승진한 박인구 전지소재부문장(2023년 1월 전무 내정)이라는 도우미가 있다. 박 부문장은 올해 본격화된 롯데케미칼 이차전지소재 확대 행보를 이끌고 있다.
그는 이영준 롯데케미칼 첨단소재사업부문 대표, 서강훈 롯데케미칼 전지소재사업개발 담당 상무와 함께 롯데그룹 화학군 전지소재사업단에서 활동하고 있다. 내년 신 상무보의 경영 보폭이 커진다면 이영준 대표, 박 부문장과 함께 해당 사업단에서 활동할 가능성도 있다.
이미지 확대보기지난 3월 설립한 롯데그룹 화학군 '전지소재사업단' 개요도. /자료=롯데케미칼.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롯데그룹은 지난 3월 화학군 전지소재 사업 총괄을 위한 전지소재사업단을 신설해 본격적인 투자를 집행헀다”며 “롯데케미칼이 올해 전지소재 사업 투자에 집중한 가운데 추후 신유열 상무보도 화학군 전지소재사업단에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지난 1월 ‘바나듐 배터리용 전해액 생산 기술’ 개발을 시작으로 지난 5~6월 미국 내 이차전지소재 법인(2022년 5월 롯데 알루미늄 USA, 2022년 6월 롯데 배터리 머티리얼즈 USA(을 설립했다. 이를 통해 일진머티리얼즈 인수(롯데 배터리 머티리얼즈USA) 등의 성과를 거뒀다.
이를 토대로 내년에 이차전지소재 투자를 본격화한다. 내년 3조2000억 원을 시작으로 2024~2029년에 총 4조 원 등 오는 2030년까지 총 7조2000억 원의 투자를 집행한다.
롯데케미칼 측은 “오는 2030년까지 전지 소재 부문에서 7조 원 매출 달성을 목표로 7조 원을 투자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부품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