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서울 강동갑·기획재정위원회)이 금융감독원로부터 제출받은 전세대출 관련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은행권에서 전세대출을 빌린 대출 차주는 137만6802명으로 집계됐다. 20대 차주는 30만6013명, 30대차주는 54만2014명에 달했다. 이들 2030 청년층이 전체 전세대출 차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1.6%에 달했다.
전세대출은 정책금융을 제외하면 대부분 변동금리로 체결된다. 지난해 말 전세대출 금리 유형은 변동금리부 대출이 93.5%를 차지했다. 고정금리부 대출은 6.5%에 불과했다.

올해도 규모를 키우는 중이다. 전체 연령대의 차주는 5.5%(130만4991명→137만6802명) 증가했다. 2030 청년층 차주는 6.2%(29만4892명→30만6013명) 커졌다.
특히 청년층의 전세대출은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합친 것보다 크다. 이들은 코로나19를 지나며 대출 규모를 빠르게 규모를 키웠다. 지난 6월 말 20대 청년층이 은행에서 빌린 가계대출은 67조9813억원이다. 이중 35.1%인 23조8633억원은 전세대출 잔액이었다.
진선미 의원은 “전세대출은 주거를 위한 생계용 대출이다”며 “금리의 가파른 인상으로 인해 청년층이 과도한 빚 부담을 떠안아 부실화되지 않도록 전세대출 대환대출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