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까지 천정부지로 뛰었던 아파트값 속에서 대체 주거상품으로 덩달아 인기를 누렸던 주거용 오피스텔과 생활형숙박시설 등이 올해 전반적인 부동산 침체 속 직격탄을 맞고 있다.
지난해 11월 청약을 받은 대우건설의 ‘신길 AK 푸르지오’는 96실 모집에 총 12만5919명이 접수했다. 평균 경쟁률 1312대 1로 청약을 마감했다. 비슷한 시기 청약을 받은 ‘힐스테이트 과천청사역’ 역시 평균 세 자릿수, 최고 5761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로 청약을 마쳤다.
기존에는 오피스텔은 DSR 등 대출규제가 상대적으로 느슨한 데다 아파트에 비해 가격이 저렴했다. 건설사들의 상품 경쟁에 불이 붙으며 아파트 못지않은 넉넉한 평형의 상품이 나오거나, 다양한 주거상품이나 빌트인 가전 등이 자리 잡으며 상품성도 늘어나는 추세였다.
올해 상반기 수도권의 전용 60㎡초과 오피스텔 거래량은 전년동기 대비 절반 이상 감소했다. 특히 서울은 역대 최소 수준의 거래를 기록했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소형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부담 등이 맞물리면서 매수심리 위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상반기 수도권 오피스텔 매매 거래량은 1만9595건(△서울 8993건 △경기 7807건 △인천 2795건)으로 2021년 상반기 거래량인 2만3676건(△서울 9602건 △경기 1만211건 △인천 3863건)에 비해 17.2% 감소했다.
올해부터는 오피스텔 매수 시에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가 적용돼 대출한도가 낮아졌고,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가격 수준이 높은 전용 60㎡초과 면적대의 거래가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8월 수도권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5% 떨어져 지난 2020년 11월 이후 1년9개월만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도 지난 7월 -0.03%, 8월 -0.07% 등 두 달 연속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생활형숙박시설 역시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 작년까지와는 달리 청약에 당첨되고 분양권 전매를 하려고 해도, 높아진 금리로 인해 섣불리 매수에 나서려는 수요자들이 줄면서 생숙 상품의 매력 역시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각종 부동산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생활형숙박시설 청약에 당첨된 사람들이 무피(분양가 그대로), 마피(분양가보다 싼 가격)로 매물을 내놓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시원치 않은 반응들이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 한 전문가는 “생활형숙박시설은 주거용으로도 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다른 수익형부동산보다 시장 상황에 민감할 수밖에 없고, 오히려 지난해의 호황이 다소 이례적인 경우였다고 할 수 있다”며, “서울 인접 지역 같은 좋은 지역에라도 있으면 모르겠지만, 경기도 외곽이나 지방에 나온 생숙에 투자했던 분들은 상당히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