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예정인 권모 씨(34)는 최근 들어 서울내 아파트를 사려던 생각을 그만뒀다. 아파트 값은 하락세로 접어들었고, 금리마저 높아지자 부담이 커진 탓이다.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6월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014건이었다. 이 가운데 30대 이하 거래량은 24.8%(449건)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9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최근 몇 년간 집값 상승 기대와 부담되지 않은 대출 금리로 소위 ‘영끌’은 꾸준히 증가했다. 실제로 2020년 2월 36.3%로 처음 35%를 넘어선 이후 지난해 7월에는 44.8%까지 치솟았다. 다만 이 수치는 올해 5월 37.4%로 내려앉았고 이듬달에는 30% 선까지 무너졌다. 이같은 현상은 주택경기 침체로 집값 하락한다는 인식 확대와 금리 상승으로 대출 이자에 대한 부담으로 매수세가 위축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30세대가 서울내 아파트 매수를 포기하고 눈을 돌린 곳은 임대주택이다. 지난달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2022년 2차 청년 매입임대주택' 청약에는 서울 263가구 모집에 2만6910명이 접수하면서 10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LH가 전국 단위 청년매입임대주택 입주자를 정기 모집한 이후 최대 규모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LH가 기존 주택을 사들여 무주택자 청년(대학생, 취업준비생 포함)에게 공급하는 임대주택이다. 소득 형편에 따라 임대보증금과 임대료가 차등 적용되는데, 1순위의 경우 기본보증금 100만원에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40%다. 2·3순위는 기본보증금 200만원에 주변 시세 50%의 임대료가 적용된다.
국토부는 청년·신혼부부 등의 호응에 힘입어 연말까지 전국 101에서 총 2만6454호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다.
공공임대주택은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주택으로 △시세 30% 이하로 공급되는 영구임대주택 △다양한 계층에게 공급되는 국민임대주택 △청년·신혼부부 등 청년층에게 주로 공급되는 행복주택 등으로 구분된다.
국토부는 서울·경기·인천 지역에서는 총 48곳, 1만6977가구에 대한 입주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이중 서울에는 516가구가 공급된다. 서울 강동천호1 행복주택(94가구)을 비롯한, 동탄2 신도시 행복주택(1500가구), 양주옥정 행복주택(1215가구) 등이 공급될 예정이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