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 일대는 서울의 대표적인 상습 침수 지역 중 하나다. 주변보다 지대가 낮은 항아리 지형으로 침수가 발생하기 쉽고, 포장도로가 지나치게 많아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지적도 잇따라 나왔다. 정부도 이를 인식하고 그간 수차례 침수대응능력 개선 의지를 피력해왔으나, 이번 침수사태로 여전히 그 능력이 미흡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곳곳에서 사망사고 및 실종사고가 속출하고, 수 백명에 달하는 수재민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침수된 차량이 도로에 방치되며 교통정체까지 발생하고 있다. 윤석열닫기

앞서 서울시는 2015년 '강남역 일대 및 침수취약지역 종합배수 개선대책'을 발표하며 ▲역경사로 설치되는 등 잘못된 하수관로를 바로잡는 배수구역 경계조정 ▲서울남부터미널 일대 빗물을 반포천 중류로 분산하는 지하 배수시설인 유역분리터널 공사 등을 추진했다. 그러나 예산이나 설계문제 등이 겹쳐 완공 시점이 거듭 연기되며 우려를 키워왔다.
건설업계 한 전문가는 “지금까지도 배수시설 마련은 아파트 설계에 있어 가장 중점적으로 살피는 부분 중 하나였지만, 앞으로는 기후변화 여파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며, “현재 건설업계가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위해 손을 모으고 있듯, 침수가 쉬운 강남이 사회적 문제로 발전하면 이런 문제에 대해서도 머리를 맞댈 것”이라고 말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