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속통합기획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공임대 비중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 속에서, 신통기획을 신청했다가 철회했거나 철회를 검토하는 사업장들이 속속 등장하며 제동이 걸리는 모습이다.
시가 정비사업 초기 단계부터 공공이 주민(조합)을 서포트함으로써 통상 5년 정도 소요됐던 정비구역 지정절차를 2년으로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공공임대 비율 역시 기존 공공재개발 방식보다 5%가량 낮다.
신통기획 발표 이후 서울에서 50여곳이 넘는 사업장들이 도전장을 던지며 신통기획 방식 재개발에 뛰어들었다. 여의도 시범, 대치 미도, 잠실 장미 1·2·3차, 여의도 한양, 고덕 현대, 송파 한양2차, 구로 우신빌라 등이 신통기획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특히 가장 속도가 빠른 지역 중 하나인 천호3-2구역은 지난달 재개발 정비계획안이 가결되는 등 순항하고 있었다.
신반포4차의 경우 이미 정비계획안 수립과 주민공람 공고까지 완료된 상황으로, 신통기획보다는 기존 사업 방식을 가져가는 것이 더 낫다는 것으로 의견이 모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속통합기획의 전신으로도 불리는 오세훈표 ‘공공기획’은 이미 지난해 송파구에서 한 차례 주민 반대에 부딫혔던 바 있다. 송파구 ‘오금현대아파트’는 주민들의 예상보다 높은 임대아파트 비율(20.6%) 등의 요인으로 주민들의 반발을 샀고, 결국 공공기획으로 통과되지 못한 채 잠정 보류됐던 바 있다.
부동산 한 전문가는 “이번 선거에서도 오세훈 시장이 당선되면서 기존에 추진하던 정책들도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이고, 신속통합기획 추진에도 좀 더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강남 초고가 단지의 경우 임대비중을 두는 것 자체만으로도 반대 의사를 보이는 주민들도 일부 있어서 이런 분들에 대한 유인책이나 투기꾼들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 수반되야 사업 안정성이 담보될 것”이라는 생각을 밝혔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