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페이는 금융 플랫폼 최초 주택금융공사 보증의 일반 전월세대출 상품 중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카카오페이는 ‘내 대출 한도'에서 케이뱅크의 전월세대출 상품 2종과 우리은행의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상품 5종 등 총 7개 상품의 금리와 한도를 제공한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전 금융업권에서 버팀목전세자금대출과 일반 전월세대출 상품 모두 한 번에 비교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카카오페이가 유일하다”며, “대출 상품마다 자격 기준이 달라 어려웠던 사용자 불편을 해소하고 다양한 전월세대출 상품을 비교해 최적의 상품을 고를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카카오페이는 챗봇형 UI를 도입해 사용자 경험 향상에도 힘썼다. 카카오페이는 복잡한 전월세대출 한도 조회 과정에서 벗어나 챗봇과 대화하듯 친근하고 쉽게 대출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전월세대출’ 탭에서 ‘내 대출 한도 확인하기’ 버튼을 누르고 약관에 동의하면 대화창이 열리며, 사용자는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조르디에게 필요한 정보를 공유해 대출 한도를 알아보면 된다.
우한재 카카오페이 크레딧사업부문장은 “전월세대출은 사용자의 주거와 연관된 가장 중요한 대출상품으로 케이뱅크와 협업으로 상품 라인업 확대로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했다”며, “앞으로도 기존 시장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시도를 통해 대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고객이 더욱 편리하게 케이뱅크 대출상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객채널 확대 차원에서 카카오페이와의 협업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제휴를 통해 고객이 금융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카카오페이, ESG추진위원회 설립…위원회 내 사무국·실무협의체 신설
-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이사 “플랫폼 경제, 기술·수요·공급에 방점” [2022 한국금융미래포럼]
- 카카오페이, 신한저축은행과 사잇돌2 대출 중개 서비스 출시
-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플랫폼화 위해선 기술에 대한 이해 깔려야" [2022 한국금융미래포럼]
-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사용자 중심 플랫폼 구축으로 경쟁력 높여야”[한국금융미래포럼 주제 발표자 인터뷰]
-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올해 MTS·디지털손보사 성공적 안착 목표…수익성 역량 보일 것”
- 카카오페이, 1분기 매출 1233억 시현…거래액 27조원 돌파
-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글로벌 사업 재시동…롯데면세점과 협업 강화
- 신원근 카카오페이 신임 대표 선임…“주요 사업 추진 ‘제2 성장’ 이끌 것”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