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도 더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2.79%를 기록하며 2019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플레이션 우려를 더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3월 CPI가 전년 동기 대비 8.4%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는 연준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돈다.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5월 회의에서 빅스텝(Big step)으로 50bp(1bp=0.01%p)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언급도 이어가면서 증시에 하방 압력이 됐다.
중국 상하이의 도시 전면 봉쇄가 일부 풀렸으나 정상화까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에 경기 둔화 우려가 확산된 점도 투심을 약화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나스닥이 직격탄을 맞고 빅테크주, 기술주 하락이 두드러졌다.
애플(-2.55%)도 하락불을 켰다.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로 글로벌 수요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로 에너지주인 옥시덴탈페트롤리움(-6.28%)도 하락했다.
반면 AT&T의 주가는 디스커버리 분사가 완료됐다는 소식에 7.46% 상승했다.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는 중국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상하이 공장 생산 중단 여파 속 전일 대비 4.83% 하락한 975.93 달러에 마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