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1일 은행 기준 적금 세전 이자율 순위./자료=금융감독원(10만원씩 12개월 적립 시)
[한국금융신문 임지윤 기자] 3월 1주 은행 적금 상품 가운데 12개월 만기 기준 최고금리는 연 2.40%인 것으로 확인됐다. 우대조건 등을 활용하면 0.10%포인트(p)라도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어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1일 금융감독원(원장 정은보닫기정은보기사 모아보기) 금융상품 통합비교공시에 따르면 은행 적금 가운데 12개월 만기 기준 금리가 가장 높은 상품은 우리은행(은행장 권광석닫기권광석기사 모아보기)의 ‘원(WON) 적금(정액·자유적립식)’과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은행장 서호성닫기서호성기사 모아보기)의 ‘코드K 자유적금’으로, 연 2.40%(세전)를 제공한다.
우리은행 ‘원적금’은 우리은행의 ‘원(WON)통장’ 또는 ‘우리 꿈통장’을 통해 가입할 경우 만기 시 연 0.10%p 우대금리 혜택을 준다. 또한 우리 우리 오픈뱅킹 서비스에 다른 은행 계좌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만기해지 시 0.10%p 우대금리가 주어진다. 월 최대 50만원까지 적립할 수 있으며, 스마트뱅킹에서만 가입 가능하다.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은행장 서호성) ‘코드K 자유적금’은 1만원 이상 30만원 이하로 1인 최대 3개 계좌까지 가입할 수 있다. 가입 기간은 ▲6개월 ▲1년 ▲2년 ▲3년이다. 만 17세 이상 실명의 개인이나 개인사업자에 한해 인터넷‧스마트폰으로 가입 가능하다.
Sh수협은행(은행장 김진균닫기김진균기사 모아보기)의 ‘Sh해양플라스틱제로(Zero)!적금(정액적립식)’은 연 2.30% 금리를 제공한다.
해당 상품은 최대 0.50%p 우대금리를 더해준다. 해양 플라스틱 감축 서약 0.10%p, 봉사활동 또는 상품 홍보 0.20%p, 입출금 통장 최초 신규 가입 0.20%p, 자동이체 출금 실적 0.20%p 등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월 1만원 이상 100만원 이하의 저축금액을 매월 약정한 날짜에 동일하게 저축하면 된다.
이 상품의 자유적립식은 연 2.10% 금리를 제공한다. 우대조건은 정액적립식과 같다. 최소 1만원부터 최대 20만원까지 자유 적립할 수 있다.
신한은행(은행장 진옥동닫기진옥동기사 모아보기)의 ‘신한스마트적금’은 연 2.20% 금리를 제공한다. 이 상품은 월 100만원 이하로 자유롭게 적립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1인 1계좌로 가입 가능하다.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대표 윤호영닫기윤호영기사 모아보기)의 ‘카카오뱅크 자유적금’도 연 2.20% 금리를 준다. 이 상품은 전체 계약 월수의 2분의 1 이상을 자동이체로 납입하고 만기 해지하는 경우 연 0.20%p 우대금리 혜택을 준다.
단 만기 자동 연장된 원리금은 우대금리를 제공하지 않는다. 가입 기간은 6~36개월이며, 가입 금액은 1000원 이상이다. 월 1000원 이상 300만원 이하로 적립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가입 가능하다.
DGB대구은행(은행장 임성훈닫기임성훈기사 모아보기) ‘내가만든보너스적금’은 연 2.05% 금리를 적용한다. 우대금리는 최대 0.80%p다. 비대면 채널 신규 가입 0.20%p, 마케팅 활용 상품 안내 수단 전체 동의 0.20%p, 자동이체로 8회 이상 입금 0.20%p, 원금 합계 100만원 이상 0.10%p 또는 200만원 이상 0.20%p 등이다. 월 가입 한도 1만원 이상 20만원 이하로 자유롭게 적립할 수 있다.
NH농협은행(은행장 권준학닫기권준학기사 모아보기) ‘e-금리우대적금’은 연 2.03% 금리를 제공한다. 이 상품은 NH채움카드 이용 실적 100만원일 경우 0.10%p, 계좌를 추천하거나 추천받을 경우 각각 0.10%p씩 더해 최대 0.30%p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추천‧피 추천 횟수는 5회, 금액은 매달 2000만원 이내로 제한된다.
비대면 상품이며 첫 입금 금액은 5만원 이상, 매회 계좌별로 1만원 이상 입금해야 한다. 매달 1인당 500만원 이내 자유적립할 수 있다. 단 계약 기간의 4분의 3이 경과한 후 적립할 수 있는 금액은 그 이전 적립금액의 50%를 초과할 수 없다.
케이뱅크 ‘주거래우대 자유적금’ 금리는 연 2.00%다. 급여이체 또는 통신비 자동이체, 체크카드 고객에게 최고 연 0.60%p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만 17세 이상 실명의 개인 및 개인사업자에 한해 1인 최대 3계좌까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가입 가능하다. 가입 금액은 1000원 이상 300만원 이하이며, 가입 기간은 6~36개월이다.
산업은행 ‘KDB드림(dream) 자유적금’은 연 1.97% 금리를 적용한다. ‘KDB드림 어카운트(dream Account‧입출금 통장)’ 계좌에서 자동이체 방법으로 납입하는 경우 0.10%p 우대금리가 적용된다. 개인 및 개인사업자가 가입 대상이며, 최초 납입일 고정금리식과 수시 납입일 고정금리식 중 이자율 적용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KB국민은행(은행장 이재근) ‘KB 1코노미 스마트적금’ 금리는 연 1.95%의 정액적립식 상품이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KB스타뱅킹’ 전용 상품으로, 우대이율이 최고 연 0.60%p까지 적용된다.
1인 가구인 경우 ▲공과금 자동납부 ▲1코노미 카드 보유 ▲외화 환전 실적 충족 시 각각 연 0.10%p 우대된다.
스마트1코노미 우대로는 △국민은행 자산관리 앱 ‘KB마이머니’ 가입 △국민은행 이동통신 서비스 ‘리브(Liiv)’ 계좌 등록 △국민은행 포인트 관리 앱 ‘리브 메이트’ 가입 시 각각 연 0.10%p까지 우대금리 혜택이 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