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가계대출 총량규제와 금리인상기에 거래절벽이 심화되면서 집값 하락전환 지역이 늘자, 정부의 ‘집값 고점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었다.
홍남기닫기

그는 또 “올해 분양 예정 물량 39만호와 사전청약 7만호를 합쳐 평년(10년來 34만8000호) 대비 30% 이상 많은 46만호가 예정돼 있다"며 "사전청약은 2021년(3만8000호)의 약 2배 물량을 3기 신도시·2·4대책, 서울권 사업지 등 선호입지를 중심으로 실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부의 장밋빛 전망과는 달리, 민간이 추산한 ‘입주 예정물량’은 이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부동산R114가 지난달 제공한 추산에 따르면 2022년 전국 입주물량은 약 31만2974호에 그칠 것으로 조사됐다. 예정물량이기 때문에 변동사항이 있을 수는 있으나, 늘어날 가능성보다는 오히려 줄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인구의 50% 이상이 몰려있는 서울 및 수도권으로 눈을 돌려보면 서울이 2만520호, 경기는 10만8578호, 인천은 3만7319호에 그치고 있다.
현재의 집값 상승세 둔화가 최근 2년간의 급등으로 인한 피로감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작년 하반기 보유세가 현실화 됐고 대출규제 강화까지 더해지면서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섰고, 이에 따라 매도자들 가운데 고수했던 호가를 낮추면서 급등했던 가격 일부가 덜어 내지고 있는 것”이라며 대세하락에 대한 낙관론을 경계하는 의견을 보였다.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자문센터 팀장 역시 “집값의 변곡점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나 그게 올해가 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왜냐하면 서울의 경우 적어도 올해까지는 신규입주 및 공급물량이 평년 평균에 비해 여전히 적은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하는 한편, “다만 지방의 경우 공급물량이 확대되는 곳 위주로 이미 변곡점에 들어갔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