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창근 CJ올리브영 대표이사는 지난 10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2021 올리브영 어워즈&페스타'를 개최하고 2022 주요 전략 방향을 발표했다.
구 대표는 "올리브영은 오프라인 유통기업 중 어디도 해내지 못한 옴니채널 전환을 성공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올리브영은 이날 2021 연간 실적(취급고)을 잠정 집계한 결과 전년 대비 13% 증가한 2조40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국내 뷰티 시장(면세 제외) 성장률이 올해 2.8%인 것과 비교해 유의미한 성과다. 특히 온∙오프라인, 글로벌 모두 3분기 기준 전년 대비 각각 13%, 58%, 107% 증가했다.
구 대표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호실적을 달성한 요인으로 ▲뷰티와 헬스 상품 경쟁력, ▲매장 진화, ▲성공적 옴니채널 전환을 꼽았다.
올리브영의 국내 뷰티 시장 점유율은 지난 2018년 8%에서 올해 3분기 14%까지 올랐다. 또한 신성장동력 중 하나인 헬스 부문 매출 역시 4000억원 대를 돌파했다.
올리브영은 지난 10일 오는 2022년을 '건강한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옴니채널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도약하겠다고 전했다. 이를 위한 ▲디지털 투자 지속, ▲오프라인 매장 변화, ▲트렌드 리딩 및 생태계 기여 등 전략 방향도 공개했다.
올리브영은 내년 디지털 기획과 개발 역량 내재화 비중을 8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동시에 올리브영만의 차별화된 경험 제공을 위해 매장 디스플레이 기능을 강화하고 대형매장 250개 점을 중심으로 새단장에 들어간다. 새로운 웰니스(Wellness) 트렌드에 적극 대응해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도 강화한다.
구 대표는 "CJ올리브영은 내년을 건강한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옴니채널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도약의 원년으로 삼고 혁신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선혜 기자 hisunny20@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