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금융위원회 국감을 진행한다. 이어 7일 금융감독원, 15일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서민금융진흥원, 18일 예금보험공사·한국자산관리공사·주택금융공사·예탁결제원을 대상으로 국감을 연다. 21일에는 금융위와 금감원에 대한 종합감사가 예정돼 있다.
여기에 금융당국은 이달 중 가계부채 관리 추가대책도 내놓을 예정이다.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단계적 규제의 시행시기를 앞당기고, 제2금융권에 대한 DSR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금융당국이 이번 대책에 전세대출 규제를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실수요자들의 반발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감에서는 취임 1개월여를 보낸 고승범닫기


가상화폐 거래소 규제도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가상자산 사업자는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에 따라 지난달 24일까지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획득 ▲은행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 개설 등 요건을 갖춰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신고를 진행해야 했다. 24일 기준 가상자산 거래업자로 신고한 업체는 29곳이다. 이 중 4대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를 제외한 25곳은 ISMS 인증은 받았지만 실명계좌를 발급받지 못해 코인마켓만 운영할 수 있다.
화천대유의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을 놓고 여야의 치열한 공방도 예상된다. 야권에서는 대장동 개발 우선협상대상자로 화천대유가 참여한 '성남의 뜰(하나은행 컨소시엄)'이 선정된 것과 관련해 담합 의혹 등을 제기하고 있다. 하나은행 컨소시엄은 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동양생명, 하나자산신탁 등으로 구성돼 있다. 앞서 야당은 대장동 개발의 입찰 경쟁에 참여했던 하나은행 컨소시엄, 산업은행 컨소시엄, 메리츠증권 컨소시엄 관계자들을 비롯해 배당을 받은 SK증권, 초기 자금은 댄 킨앤파트너스 등의 대표와 실무자 36명을 증인으로 신청지만 여당의 반대에 부딪혀 불발됐다.
카카오, 네이버 등 빅테크 이슈도 주요 쟁점이다. 여야는 빅테크 규제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한 상태다. 여야 의원들은 빅테크의 문어발식 사업확장에 따른 골목상권 침해, 금산분리 특혜 논란 등에 대한 금융당국의 입장과 대응책을 집중 질의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11월 라임 사태와 관련해 김형진 전 신한금융투자 대표와 나재철 전 대신증권 대표(현 금융투자협회장), 윤경은 전 KB증권 대표에게 '직무정지'를, 박정림 KB증권 대표에게 '문책경고'의 중징계를 결정했다. 징계에 대한 최종 결정 권한을 가진 금융위는 손 회장의 1심 결과를 반영해 라임 사태와 관련한 제재안을 결론 내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