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성수닫기

은 위원장은 10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KB·신한·우리·하나·NH농협금융 등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금융권의 가계대출 취급 현황을 짚어보고 향후 경제와 금융권에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없는지에 대해 논의했다.
이에 금융지주 회장들은 “실수요와 무관하거나 자산버블을 부추기는 가계대출은 없는지 꼼꼼히 점검해나가겠다”며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증가율 목표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5~6%대로 관리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은 위원장은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가계부채 증가율을 억제하고 있지만 실수요도 있어 쉽지 않다”며 “실수요를 억제해야 되는지, 실수요는 놔두고 억제할 방법이 있는지 그런 부분에 대한 고민을 지주 회장들과 얘기했고 각자 또 의견을 나눠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은 위원장과 금융지주 회장들은 코로나19 위기 관련 방역상황과 전망 및 지원현황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은 위원장은 “현재 중소‧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지원조치가 갖는 긍정적 효과와 이것이 장기화될 경우 누적될 부정적 효과를 면밀히 검토 중”이라며 “이 과정에서 금융권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중소‧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지원 규모는 6월 말 기준 전 금융권에서 총 204조원에 달한다.
9월 말 종료 예정인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의 재연장 여부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은 위원장은 “(조치 연장에 대해) 아직 결론을 내기 이르다. 연장을 한다 안한다로 끝날 게 아니라 창의적인 방법이 있는지 살펴보기로 했다”며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이고 지금까지 합동으로 만기연장을 해왔기 때문에 미리 결론을 내거나 예단하지 말고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은 위원장은 기자들에게 “금융권이 수익을 많이 내고 배당도 늘린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그런데 그에 맞춰 사회에서 기대하는 것이 있는데 민간 회사이니 청년들한테 일자리를 만들 기회를 주는 것이 그러한 기대에 더 부응하지 않을까 해 요청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지주 회장들은 디지털화 빠르게 진행되면서 마냥 옛날식으로 고용을 늘릴 수 없는 한계를 이야기했다”며 “구조적으로 전체 인건비를 동결하거나 줄이는 과정에서 청년들에게 기회를 더 주면 좋으니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와 금융권, 경우에 따라서는 노조도 같이 대화를 나눴으면 좋겠다고 했는데 맞는 이야기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금융지주 회장들은 금융당국이 오는 10월 출범을 목표로 추진하는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플랫폼과 관련한 의견도 전달했다. 은 위원장은 “금융지주 회장들이 대환대출 플랫폼에 대해 걱정을 많이 했다”며 “제한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 중금리 쪽으로 우선 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줬다”며 “회장들이 별로 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고 그렇게 하는 데는 이유가 있을테니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