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뱅크는 올해 1분기 순이익이 지난해 동기(185억원) 보다 152.43% 증가한 467억원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순이자 이익과 수수료 수입 증가가 호재로 이어졌다.
이 은행이 고객 대신 지급한 출금만 되는 자동화기기(CD)·현금자동인출기(ATM) 비용은 136억원이다. 1분기 말 총 자산은 28조6164억원이다.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9.85%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1분기에도 이용자 증가와 금융권 내 모바일 트래픽을 기반으로 뱅킹과 플랫폼 비즈니스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이어갔다"고 17일 밝혔다.
리서치 전문 기업인 닐슨코리안클릭은 3월 한 달간 카카오뱅크 앱 순이용자(MAU)가 1335만명이라고 추산했다. MAU는 실제 이용 여부를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 중 하나다.
이용자 증가와 트래픽은 신용 거래로 이어졌다. 올해 1분기에 카카오뱅크를 거쳐 이체된 금액은 79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49조3300억원) 대비 160%포인트 증가했다. 3월말 기준 수신 잔액은 25조391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조8520억원 올랐다. 예금주의 요구가 있을 때 언제든지 지급할 수 있는 요구불예금 비중은 57%였다.
플랫폼 비즈니스 부분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계좌를 빠르게 개설할 수 있는 주식계좌개설 신청 서비스는 지난해 말 누적 300만좌를 돌파했다. 올해 1분기 61만4500좌가 카카오뱅크를 통해 신규 개설됐다. 제2금융권의 대출 서비스를 연결하는 연계대출은 누적금액이 지난해 말 2조원에서 3월 말에는 2조5300억원으로 올랐다.
올해 카카오뱅크는 1600만명 이상 이용자와 모바일 앱 MAU 1위 트래픽을 바탕으로 금융 플랫폼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중·저신용자를 위한 대출 한도를 5000만원에서 7000만원으로 상향하고 금리를 최대 1.2%포인트 내리며 윤호영닫기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중금리 대출 확대를 통해 금융 포용을 강화하고, 플랫폼 부문에서는 금융회사뿐 아니라 비금융사와도 연결을 확대해 생활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