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박삼구 전 회장은 지난해 11월 일본으로 출국하려다 제지당했다. 당시 박 전 회장은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부로부터 ‘계열사 부당 지원’ 사건으로 수사를 받고 있었다. 그가 출국 제지 당한 날은 해당 사건 압수수색이 이뤄진 다음 날이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해외 도피는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박 전 회장은 일본 내 친분관계가 있는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간사장의 만찬 초청에 응하기 위해 출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측은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해외 도피 관련된 일부 언론의 보도는 전혀 사실과 다르며, 공정거래위원회 고발건으로 출국금지가 돼 있을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지 못햇다”며 “일본 내 오래 친분 관계가 있는 일본 2인자인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자민당 간사장의 2020년 11월 8일 만찬 초청에 응하기 위해 출국하려 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삼구 전 회장의 동생인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도 지난달까지 경영권 분쟁을 펼쳤다. 조카인 박철완 금호석유화학 상무가 올해 들어 박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 쇄신을 주장하면서 해당 분쟁은 본격화됐다. 약 3개월간 지속된 분쟁은 지난달 26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박 회장이 조카인 박철완 금호석유화학 상무에게 승리, 일단락됐다.
경영권 분쟁에 승리한 박 회장은 박철완 상무 해임, 금호리조트 체질 개선 등의 행보를 펼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지난달 31일 “박철완 상무는 해외고무영업 담당 임원으로서 회사에 대한 충실 의무를 위반해 관련 규정에 의거해 위임 계약을 해지했다”고 밝혔다.
박 상무가 현 경영진의 실패 사례로 꼽은 금호리조트(4월 2일 인수절차 완료) 또한 변화를 시도했다. 박 회장은 지난달 김진현 전 호텔신라상무를 금호리조트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김 대표는 본격적으로 콘도 부문의 리모델링 및 온라인 플랫폼 등의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수익성 개선 작업에 돌입했다. 그뿐만 아니라 정기 주주총회를 이정미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등을 신규 사외이사로 선임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 신설 등 혁신 행보를 펼쳤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