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현주닫기

과거 습관처럼 "예금으로 안전하게"가 아니라 "연금을 매달 사는 것"으로 가야한다고 했다. 노후준비 관련해 가족, 특히 자녀 관련한 고민들을 짚고 보다 빠른 금융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본인도 대학교 2학년 때부터 주식 투자를 했다"며 "투자를 하면서 회사가 어떻게 성장한 지 스토리를 알면 취직을 해도 기획을 잘 할 수 있고, 사업을 해도 아이디어가 생기고 열정도 생길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녀에 대한 부담을 더는 게 노후준비에도 긍정적이라고 했다. 박 회장은 "문화 차이인데, 미국에서는 대학을 가면 학생대출을 받아서 다니고 일해서 생활한다"며 "우리나라도 자녀를 독립적으로 살게 하는 게 중요한 것 같다"고 제시했다.
노후준비에서 가장 큰 부담으로 지목되는 자녀 부동산 문제와 관련해 임대주택 공급 필요성이 강조되기도 했다.
박 회장은 "임대주택이 공급이 안되는 게 가장 큰 문제이고 금융기관도 역할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이 부분 관련해서는 규제할 게 아니라 공급할 수 있도록 풀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