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회장은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기안기금 금리는 해당 지원업체 신용등급에 맞는 시장금리 수준에서 기금운용심의회에서 결정하고 있다”며 “특별한 금리로 지원할 필요성에 대한 지적도 타당하지만 평균 시장금리 자금을 지원해야 불필요하게 자금 신청이 들어오면서 민간 금융시장을 위축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이 회장은 “무엇보다 나중에 세계무역기구(WTO) 보조금 이슈가 될 수 있어 그 부분도 굉장히 우려된다”며 “이 때문에 명시적으로는 시중금리를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정책적 필요성이 있다면 심의회에 전달하고 정부와 협의해보겠다”고 말했다.
기안기금의 저조한 집행 실적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안기금) 신청 자체가 적은 건지 신청은 있는데 조건에 부합하는 기업이 적은 것이냐”고 물었다.
이 회장은 또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세컨드 웨이브(2차 확산)가 있고 산업의 특성상 조선업의 경우 재작년 수주받은 것을 생산하기 때문에 올해는 큰 문제가 없지만 올해 수주가 급감해 내년부터는 어려워질 것으로 생각해서 지연되는 문제도 있다”며 “기안기금은 길게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경제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기안기금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작동되게 해달라”는 주문에는 “정부와 협의해보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