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전하경 기자] 21일 정무위원회 국정감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DLF 투자자들이 국회, 금융감독원 앞에서 배상과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DLF 투자자들은 오후2시 국회 정문 앞에서 집회를 진행했다.
DLF 피해자비상대책위원회는 "이 상품 피해규모는 3600여명, 총 가입금액 9000억원에 육박하며 이번 DLF 사태는 충성 고객을 상대로 벌인 희대의 사건이자 금융사기에 가까운 행각"이라며 금융감독원이 우리, 하나은행을 고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DLF 투자자들은 "은행들이 국정감사 전 발표한 대책을 봤는데 언론 플레이에 지나지 않는다"라며 "은행은 DLF 손실도 알리지 않고 대형 로펌을 고용해서 대응하기에만 급급했다"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은행들이 언론에 알려지자 그 때서야 대응하고 제대로 투자자에게 자료를 주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DLF 투자자들은 "대형 로펌은 고용해 기계적인 답변을 하도록 교육했다"라며 "그동안 자료도 제대로 주지 않고 투자자 잘못으로 몰아가곤 했다"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은성수닫기은성수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장 '공짜 점심' 발언에도 또다시 유감을 표했다.
투자자는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공짜 점심은 없다는 발언을 하고 이에 항의를 발표하자 우리은행이 적극 배상을 하겠다고 발표했다"라며 "하나은행도 자료삭제 불거지자 그제서야 사과를 하고 우리은행은 영미 상품에 대해서는 언급도 하지 않고 독일 국채 금리 연계 상품만 말하고 있다"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정무위원회 국회의원에에 적극적인 조사와 금융감독원에 고발을 요청했다.
투자자들은 "이번 DLF 사태 핵심은 제1금융권 대국민 사기 행위"라며 "금융감독원은 사기 행위로 고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 집회가 끝난 후에는 금감원에서도 집회를 진행했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정채봉 우리은행장, 함영주닫기함영주기사 모아보기 하나금융 부회장이 DLF 관련 증인으로 채택됐으며, DLF 투자자 중 우리은행 상품에 가입한 투자자도 익명으로 입장을 밝혔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