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 회장 등 전경련 사절단은 10일(현지시간) 이안 스테프 미국 상무부 부차관보와 면담하고 이같은 입장을 전달했다.
이는 현대차그룹이 지난달 20억달러(약 2조3800억원)을 투자해 미국 내 자율주행 합작사 설립을 비롯해 스타트업·설비 등 광범위한 미국 투자 확대를 염두해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허 회장은 "이 시기에 무역확장법 232조를 통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는 양국 모두에 이롭지 않다"고 지적했다.
허 회장은 "대외의존도가 높고 자동차가 핵심 수출품인 한국에 큰 손실이며, 미국 입장에서는 한국자동차 기업이 고용하고 있는 현지 일자리가 위태로울 것"이라고 밝혔다.
2018년 기준 현대차그룹과 관련 부품사의 미국 내 직접고용 인원은 약 2만5000명으로 추산된다.
또한 지난 1월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자료에 따르면 미국이 한국 자동차·부품에 최대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우리나라는 98억달러 무역 손실과 10만명 고용 감소가 예상된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