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함께 접수된 민원에 대한 현장조사를 거쳐 불완전 판매가 확인되면 분쟁조정도 신속히 진행할 계획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이달 7일 기준 기준 국내 금융회사의 주요 해외금리 연계 DLF, DLS 판매 잔액을 총 8224억원 수준이다.
이중 판매처는 은행이 압도적이다. 우리은행(4012억원), KEB하나은행(3876억원)을 주축으로 국민은행(262억원), 유안타증권(50억원), 미래에셋대우증권(13억원), NH증권(11억원) 순이다.
고객군을 보면 개인투자자(3654명)가 투자한 금액은 7326억원으로 전체 89.1%로 대다수다. 법인(188개사)에서도 898억원을 투자했다.
이들 파생결합증권은 기초자산인 영국/미국 이자율 스와프(CMS) 금리와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에 연계돼 금리 변동성에 베팅했다.
만기가 당장 올해 492억원, 내년 6141억원, 2022년 325억원이 순차로 돌아온다. 금감원은 만기 때까지 현재 금리 수준이 이어질 경우 예상 손실 금액이 마이너스(-) 3354억원으로 평균 예상손실률을 56.2%로 내다봤다.
우리은행과 NH투자증권에서 총 1266억원이 팔린 독일국채 10년물 금리 연계 상품은 이달 7일 기준 판매금액 전체가 손실구간에 이미 진입했다. 만기가 당장 9월을 시작으로 11월까지 도래되는데 현재 금리 수준이 유지되면 만기쿠폰 지급을 감안하지 않을 경우 평균 예상손실률이 95.1%에 달한다.
다만 금감원은 "해당 상품의 최종 손실규모는 만기시 기초자산으로 사용된 금리 수준에 따라 결정되므로 현 시점에서 손실규모를 확정하기 어렵다"고 전제했다.
금융감독당국은 이번 파생결합증권 관련 일부 상품의 경우 레버리지가 높아 만기시 손실률이 90%(현 금리 수준 유지 전제)를 웃돌 것으로 판단돼 대응 채비를 갖췄다.
일단 8월중 파생결합상품의 제조·판매 등 실태파악을 위해 상품을 판매한 은행, 발행사인 증권사, 운용사 등을 대상으로 관련 검사국이 연계해 합동검사에 착수키로 했다.
금감원 측은 "구조가 복잡하고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이 금융회사를 통해 다수의 개인 투자자들에게 판매됐다"며 "해당 파생결합상품의 설계부터 판매에 이르게 된 전 과정을 점검하고 관련 내부통제시스템을 집중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검사와 병행해서 불완전판매 여부 관련 분쟁조쟁도 추진할 방침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이달 16일 기준 접수된 분쟁조정 신청건은 총 29건이다. 금감원은 관련 민원 현장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금감원 측은 "현장조사 결과 등을 통해 불완전판매가 확인될 경우 법률 검토, 판례 및 분조례 등을 참고해 분쟁조정을 신속히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금감원은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글로벌 경기하락 가능성, 미-중 무역분쟁, 홍콩시위 등으로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금감원 측은 "금리, 환율, 유가 등을 기초로 한 파생결합상품 등 고위험 금융상품의 발행 및 판매에 대한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