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최근 쉴 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지난해부터 가상화폐(암호화폐)에 대한 세간의 뜨거운 관심이 블록체인 기술로 확대되며 국내 암호학 권위자인 그에게 자문을 구하는 사례가 폭증했다. 그럼에도 김승주 교수는 여타 전문가와는 달리 자신을 블록체인 전문가로 소개하지 않는다. 국내엔 블록체인 전문가가 없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또 그는 블록체인의 밝은 미래만을 설파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한국에 블록체인 붐이 불면서 잘못 이해된 부분이 많다고 꼬집는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결제가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을 대체하기도 어렵다. 은행과 같이 중앙화된 기관이 없는 상태에서 가상화폐 이용 거래장부(일명 '블록')를 다수의 사람이 만들 경우, 사용된 가상화폐와 사용되지 않은 가상화폐를 구분하는 등 '합의'에 이르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는 "가상화폐를 활용한 결제 시스템은 현재의 신용카드 시스템만큼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없다"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절대로 중앙집중형 데이터베이스의 합의 시간을 따라갈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여기서 그의 주장엔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이 배제돼 있다. 블록체인의 이념은 권위로부터의 탈피 즉, 탈중앙집중화에 있다.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가 비트코인을 활용한 보상 개념을 창시한 이유도 중앙기관인 은행이 없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토록 하기 위해서다. 모두가 참여 가능한 퍼블릭(public) 블록체인만이 블록체인이며 소수에게 권위를 위임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본래의 취지를 벗어나 블록체인이라고 할 수 없다. 줄기세포와 같은 블록체인이 기술적으로 뛰어넘어야 할 난제는 진정한 의미의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고안된 덱스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활용한 것이며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의 덱스 도입은 현실적으로 어렵단 분석이다. 그는 "덱스는 작은 모델에선 돌아가지만 큰 모델에선 안 돌아간다"라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합의를 거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거래소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건 속도다. 초단타 매매가 이뤄지는 암호화폐 거래소에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기술이 당면한 난제는 '퍼블릭' 이상향 실현 외에도 '확장성'과 '보안성'이라는 두 가지가 더 있다. 이들은 반비례 관계에 있어 해결이 불가능에 가깝다. 더 많은 사람이 블록 형성에 참여할 경우(확장성) 데이터가 여러 사람에게 공유되기 때문에 기밀성(confidentiality)이나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구조(보안성)가 형성된다. 확장성이 높아지면 보안성이 떨어지고, 보안성을 확보하면 반대로 작업증명 기반의 합의 방식 등으로 참여율이 떨어진다.
김승주 교수는 오는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되는 '2018 한국금융미래포럼'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아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금융미래포럼은 '블록체인-핀테크 생태계 선도전략과 과제'라는 주제로, 2개의 세션과 5개의 주제발표로 진행된다. 각 주제발표에는 한국과 일본의 블록체인, 핀테크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해당 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정립하는 한편, 블록체인 생태계를 선도하기 위한 과제를 종합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