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적발된 채용비리 의심 정황을 수사기관으로 이첩하고, 적발된 금융사의 최고경영자(CEO)와 감사 해임 건의 등 엄중 처벌 의지를 밝히고 있다.
유형 별로 채용 청탁에 따른 특혜채용 9건, 특정대학 출신을 합격시키기 위한 면접점수 조작 7건, 채용 전형의 불공정한 운영이 6건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원자 중 사외이사, 임직원, 거래처의 자녀·지인 명단을 별도 관리해서 특혜 채용하는 사례가 가장 만연했다.
불합격 대상 명문대 출신 지원자의 면접 접수를 올려 합격시키거나, 임원이 자녀의 면접위원으로 참여해 합격시키는 불공정한 의심 사례도 조사됐다.
금감원은 검사 결과 드러난 채용비리 정황 총 22건(잠정)에 대해 수사기관에 이첩하기로 했다.
금융회사의 채용비리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해당 금융회사 이사회에 CEO와 감사에 대한 해임을 건의하고 검찰 수사의뢰 등 엄중 처벌하겠다고 공식화 했다.
이미 지난해 10~11월에 걸쳐 은행권에 자체 채용 시스템 조사를 요청하고 이뤄진 현장점검에서 적발된 사례인 만큼 향후 파장에 대한 은행권의 긴장감은 높아지는 분위기다.
기획재정부는 29일 2차관 주재로 공공기관 채용비리 관계 차관회의를 열고 채용비리 후속조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은행권도 연합회 중심으로 공공기관 채용비리 전수조사 뒤 발표될 정부의 제도개선 방안도 반영해 채용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마련할 방침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 "임원 아빠가 자녀 면접해 합격"…은행 채용비리 적발
- '우리은행 채용비리' 이광구 전 행장 구속영장 기각
- 금감원, 은행 10곳 채용비리 2차 검사 나서
- 금감원 노조, 채용비리 연루 김용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발언 비판
- 채용비리 연루 이병삼 전 금감원 부원장보 구속기소
- 문재인 대통령 채용비리 발본색원…여론조사 응답자 83.9% 동의
- 검찰, '채용비리' 우리은행 경기 안성 연수원 압수수색
- 검찰, 우리은행 채용비리 관련 압수수색
- 금융 공공기관 채용비리 신고 접수 개시
- 금융권, 은행장 퇴진 이어진 채용비리 의혹 후폭풍에 긴장
- 검찰, 채용비리 이병삼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구속영장 청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