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고영훈 기자] 문재인 대통령 인사채용 비리 발본색원에 대해 한 시민단체 설문조사 응답자 중 83.9%가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금융적폐 청산 인식 정도를 가늠해 봤다.
19일 금융정의연대(상임대표 김득의)가 창립 4주년을 맞아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한 금융 관련 전 국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융권의 각종 논란에 대해 ‘심각하다’ 의견이 8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의 ‘인사 채용 비리 발본색원’에 대해 83.9%가 동의했다. 금융권 적폐청산 위한 별도 기구 신설에 대해 70.2%가 찬성했다.
이 금융 관련 국민 여론조사는 금융정의연대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실시,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이달 12~13일 이틀간 유무선 RDD(유선 50.1% 무선 49.8%)를 이용해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최대 허용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이며, 응답률은 6.7%로 총 1만4893명과 통화해 그 중 1005명이 응답 완료했다.(유선 5.4%, 무선 8.9%) 조사완료 표본 수는 1005명이며 2017년 10월 말 기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 지역, 연령별 가중치를 적용했다.
이미지 확대보기문재인 대통령의 인사 비리 발본색원 질문 응답자 의견 비율/자료=금융정의연대
최근 10년 간 BBK 주가 조작, 키코 피해, 직원 채용 비리, 인사청탁 등 금융권 관련 논란에 대해 ‘심각하다’고 평가한 응답자는 전체의 86.1%(매우 심각하다 36.2%, 심각한 편이다 49.9%)로 많았다.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은 8.7%, 전혀 심각하지 않다 1.0%,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7.7% 등이었다. ‘잘 모르겠다’는 5.2%였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은행 등 금융권과 공공기관의 인사 채용비리를 발본색원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 동의하는지를 물어본 결과 전체의 83.9%가 동의한다(매우 동의한다 45.0%, 동의하는 편이다 38.9%)는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3.2%(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3.5%, 동의하지 않는 편이다 9.6%)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3.0%였다.
또한 최근 은행 등 금융권의 비리 논란 등과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에서 별도의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동의하는지를 설문한 결과, ‘동의한다’는 응답이 70.2%(매우 동의한다 29.5%, 동의하는 편이다 40.7%)로 많았고,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5.0%(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6.9%, 동의하지 않는 편이다 18.0%)로 적었다. ‘잘 모르겠다’는 4.9%였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