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서효문 기자]
허창수닫기
허창수기사 모아보기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사진) 회장이 내달 5일 열리는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증인으로 채택됐다. 그간 허 회장은 전경련의 미르·K스포츠 강압 기금 모금 의혹에 대해서 묵묵부답으로 일관해왔다. 지난 20일 발표된 검찰 중간 수사 발표도 허 회장은 언급되지 않았다. 검찰이 최순실,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 전경련을 활용해 강압적인 기금 모금을 했다고 발표, 묵묵부답으로 일관해 온 허 회장이 답할 차례다.
◇ 안 전 수석의 전경련 전횡, 알고 있었는가?
지난 20일 검찰 발표에 따르면 최씨와 안 전 수석은 직권을 남용해 전경련 53개 회원사를 상대로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 출연금 총 774억원을 강제 출연토록 강요했다. 기업들은 안 전 수석 등의 요구에 불응할 경우, 기업 활동 전반에 거쳐 직·간접적으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을 두려워해 출연했다는 얘기다.
이 과정에서 허 회장은 ‘안 전 수석의 전횡을 알고 있었는가?’를 답해야 한다. 지금처럼 ‘모르쇠’로 일관하기에는 검찰 수사가 나온 상황에서 통하기 어렵다. 지난 9월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 의혹이 제기된 이후 허 회장은 GS그룹 ’사장단 회의‘에 참석하는 등 한 발 떨어진 행보를 보였다. 내달 5일 실시되는 국정조사에서 허 회장은 전경련의 수장으로서 안 전 수석의 전횡을 알고 있었는지, 이를 방조했는지를 답해야 한다.
◇ 2월 대통령과 독대, 어떤 얘기 오갔나?
이달 초 작년 7월에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했다고 알려진
이재용닫기
이재용기사 모아보기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닫기
최태원기사 모아보기 SK그룹 회장,
구본무닫기
구본무기사 모아보기 LG그룹 회장,
신동빈닫기
신동빈기사 모아보기 롯데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등 재벌 총수들이 일제히 참고인 자격으로 검찰에 소환됐다. 독대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도 검찰은 소환 조사했다.
그러나 대통령과 독대했다고 알려진 허창수 회장은 검찰에 소환되지 않았다. 지난 2월 허 회장은 무역투자진흥회의 직후 박 대통령과 독대했다는 보도가 쏟아졌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이 허 회장에게 GS그룹 추가 출연 및 전경련의 지원을 요청했는지가 관심의 초점이다. 대통령을 독대한 총수 중 유일하게 검찰 조사를 받지 않은 허 회장이 이번 국정조사에서 답해야할 주제다.
◇ 기부 인색 GS그룹, 미르·K스포츠 ‘통 큰 기부’ “왜?”
기부에 인색하다고 알려진 GS그룹이 미르·K스포츠에 통 큰 기부를 결정한 것에 대해서도 답해야 한다. GS그룹은 미르·K스포츠재단에는 재계 순위 7위 위상에 맞는 총 42억원의 기금을 출연했다. GS칼텍스를 중심으로 총 8개의 계열사가 평균 5억2500만원을 갹출했다. GS칼텍스, GS건설, GS파워, GS글로벌, GS EPS, GS홈쇼핑, GS리테일, GS이앤알 등 총 8개 계열사가 최소 1억원에서 최대 6억3000만원을 냈다. 최근 2년간 GS그룹의 기부금이 5억원 미만을 기록한 것을 비춰보면 매우 이례적이다. 상대적으로 연루된 재벌 총수에 비해 검찰 수사 등을 피해간 허 회장이 이번 국정조사로 GS그룹이 미르·K스포츠 재단에 통 큰 기부한 이유가 무엇인지 밝혀야 하는 이유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