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서효문 기자]
허창수닫기
허창수기사 모아보기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사진) 회장은 이번 검찰의 중간 수사 결과에도 빠졌다. 중간 수사 결과 발표 전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한 9개의 대기업 그룹 총수의 소환 목록에서도 허 회장은 참고인으로 소환되지 않았다. 검찰은 최순실씨,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 전경련을 통해 약 800억원의 미르·K스포츠재단 기금 모금을 강요했다는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전경련 수장과의 연관성은 찾아보기 힘들다.
검찰은 20일 전경련을 통해 이 같은 위법행위가 벌어졌다고 중간 결과를 내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경련 수장인 허창수 회장과의 연관성은 찾아보기 힘들다. 미르·K스포츠 재단 의혹이 제기됐을 때부터 관련 문제에 대해서 함구한 허 회장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검찰은 수사 선상에 허 회장을 포함시키지 않았다.
허 회장이 총수로 있는 GS그룹은 미르와 K스포츠 재단에 총 42억원을 출연했다. 기부에 인색하다고 평가받아온 GS그룹으로서는 이색적인 기부행태다. 여기에 지난 2월 무역투자진흥회의 직후 박 대통령과 따로 독대했다는 정황이 지난 15일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허 회장은 검찰에 소환되지 않았다.
이재용닫기
이재용기사 모아보기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닫기
최태원기사 모아보기 SK그룹 회장,
신동빈닫기
신동빈기사 모아보기 롯데그룹 회장 등 대통령과 독대했던 그룹 총수들이 일제히 소환조사를 받았던 것을 비춰보면 이례적이다.
한편, 20일 검찰이 발표한 중간 수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최씨와 안 전 수석은 전경련 53개 회원사들에게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 출연금 774억원을 강제 출연토록 강요했다. 해당 기업들은 이 요구에 불응할 경우, 각종 인·허가상 어려움과 세무조사의 위험성 등 기업활동 전반에 직·간접적 불이익을 받게될 것으로 우려해 지시를 따랐다. 관련 재단의 이사장 등 주요 임원도 전경련 및 출연 기업이 아니라 최씨의 추천대로 정해졌음에도 불구, 전경련에서 추천한 것처럼 창립총회 회의록도 허위 작성됐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