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31일 나이스신용평가는 ‘하이일드(BBB등급) 회사채 시장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제언’ 보고서를 통해 과거 전체 회사채 발행액의 30%를 넘었던 BBB급 이하 회사채 비중이 현재는 3~6% 수준으로 축소됐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BBB급 회사채 시장이 위축된 이유는 ▲기관투자자의 과도한 보수성 ▲리테일과 하이일드펀드에 편중된 수요 ▲높은 신용 스프레드로 인한 발행 유인 저하 등이 꼽힌다. 특히 BBB+ 채권 수익률이 6%를 넘는 반면, 은행 대출금리는 4% 초반이다. 기업 입장에서 회사채 발행 매력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부도율 통계상 국내 BBB급 기업의 위험 수준은 과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나신평에 따르면 국내 BBB급 평균누적부도율은 3년차 1.57%, 5년차 2.19%로 스탠다드앤푸어스(S&P)의 BB등급(3년차 3.12%, 5년차 5.75%) 보다 낮다.
나신평은 BBB급 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주관사의 적극적인 기업 발굴과 기관투자자의 투자기준 완화 ▲P-CBO·QIB 프로그램 등 보조적 자금조달 수단 활성화 ▲하이일드펀드 분리과세 재도입 등 정책적 인센티브 확대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모험자본 공급 의무 명료화 등을 제시했다.
특히 정부가 올해 발표한 ‘증권업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방안’에 따라 종투사의 발행어름 운용 자금 중 일정 비율을 모험자본으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나신평은 “BBB급 채권을 모험자본의 투자대상에 명시하고 인센티브 구조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와 시장이 공동으로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ECM] 빅딜 IPO 수수료율, '1%'도 높은 벽…중소형 단독주관 '실속'](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10614033105451179ad43907222110701.jpg&nmt=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