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신범준 토큰증권협의회 회장이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거래소 주최 '한국 자본시장 콘퍼런스'에서 주제 발표에 나서서 던진 화두다.
신범준 토큰증권협의회 회장은 "한국만이 가질 수 있는 차별화 요소는 K팝 등 K컨텐츠로, 이를 적극적으로 부각한 토큰증권 등이 앞으로 많이 쏟아져 나와야 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토큰증권이 법제화되면 이같은 상품이 향후 많이 출시될 것이며, 관련 투자가 활발해질 것이다"고 말했다.
토큰증권과 스테이블코인과의 융합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신 회장은 "토큰증권이 필요로 하는 건 해외 투자자들의 접근성 및 즉시 결제 시스템이다. 스테이블코인이 해답이다"고 강조했다.
그는 “해외 투자자들이 K콘텐츠 관련 토큰증권 투자에 참여하도록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빨리 마련되면 좋겠지만 아직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며 “우선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 등 해외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을 국내 토큰증권 시스템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퍼블릭 블록체인' 도입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기미오 미카즈키 오사카디지털거래소(ODX) 대표는 "가상자산 시장 발전을 위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퍼블릭 블록체인 도입이 필요하다"며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을 도입해 이곳에서 토큰증권(ST·Security Token)을 발행해야 글로벌 시장과의 연결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규일 거래소 부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내년 초 장내 신종증권시장을 개설할 계획이다" 며 "시장 개설 초기엔 부동산, 저작권 등 실물자산을 유동화한 조각투자상품 중심으로 거래가 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관련 법령 정비를 전제로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을 기초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나 파생상품이 늦지 않게 우리 시장에 상장되도록 준비중이다"고 덧붙였다.
김희일 한국금융신문 기자 heuyil@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