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투자증권, 강남금융센터 확장…PB 경쟁 ‘시동’
특히 이번 센터 재편은 자사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인 ‘우리WON MTS’의 해외주식 서비스 강화 시점과 맞물려, 글로벌 자산 운용 니즈가 높은 고액 자산가를 적극 공략하겠다는 전략과 연결된다.
우리투자증권은 또한, 시티은행 출신 ‘스타 PB’ 김재상 센터장을 영입하며 PB 인력 강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향후에는 AI 기반의 리스크·수익률 분석 시스템을 도입해 고객 맞춤형 종합자산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 미래에셋·삼성·KB 등 대형사들도 ‘VIP 마케팅’ 강화
우리투자증권 외에도 주요 증권사들은 앞다퉈 프리미엄 점포 리뉴얼과 VIP 서비스 확장에 나서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PWM(Private Wealth Management) 부문을 운영 중이며, 부문 내 점포는 The Sage 패밀리오피스, The Sage 강남파이낸스, The Sage센터원 3곳이다.
KB증권은 전국 주요 지역에 ‘더 퍼스트(The First)’ PB센터를 설치하고, 본사 차원의 VIP 전략팀을 운영 중이다. 은행, 보험, 카드 등 KB금융그룹 내 다른 계열사와의 시너지를 활용해 종합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이유 있는 ‘부자 마케팅’…자산 양극화와 저성장 국면 영향
이처럼 증권업계가 고액 자산가 확보에 집중하는 배경에는 자산 양극화 심화와 국내 투자 환경의 저성장 기조가 자리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고액 자산가층을 선점하는 것이 장기 경쟁력 확보의 핵심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부동산 규제와 금리 변화로 인해 자산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자산관리 전문성을 갖춘 증권사의 PB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 업계 관계자 “VIP 고객 중심의 차별화 전략 더욱 확대될 것”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과거에는 단순한 수탁 중심의 자산관리가 주를 이뤘다면, 이제는 세무, 법률, 글로벌 투자, 비상장 자산까지 아우르는 ‘종합적 자산 솔루션’이 요구되고 있다”며, “향후 증권사 간 VIP 고객 확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희일 한국금융신문 기자 heuyil@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