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모두를 위한 한국적 AI, K 믿:음' 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범용성과 실수요 기반의 특화 모델을 결합한 독자적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에 나선다. 이를 통해 전 국민의 AI 접근성을 높이고 공공 분야 AI 대전환을 이끈다는 목표다.
컨소시엄 주관사 KT는 210B 파라미터 규모의 AI 모델을 독자 기술로 개발해 낸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1000명이 넘는 AI 인재도 확보했다. 2023년 자체 개발한 AI 모델 믿:음을 국내 대기업 중 처음으로 오픈소스로 공개한 데 이어 올해 7월 자체 믿:음 2.0 오픈소스도 누구나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다.
KT 컨소시엄은 투모로 로보틱스 참여로 피지컬 AI까지 고려한 구성이 갖춰졌다. 투모로 로보틱스는 최근 산업부의 K-휴머노이드 연합 핵심 참여사로 범용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세계 무대를 겨냥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AI 반도체 분야 권위자 하버드대학교 위구연 교수와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분야 대표적 연구자인 워싱턴대 이수인 교수 등 세계적 석학들도 AI 원팀 자문에 참여한다.
KT는 이번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통해 여러 방면의 산업적, 사회적 파급 효과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