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정희왕)은 7일 논평을 내고 “유동화전단채 관련 조기변제는 제외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회생법원에 우선 변제를 약속 해놓고 지키지 않은 비열한 행태였다고 본다”고 홈플러스와 MBK를 비판했다.
유동화전단체는 납품업체들이 사용한 기업구매전용 카드를 유동화해 발행된 채권으로, 상거래 채권이라는 점에서 회생 계획 인가 전에도 조기 변제가 가능하다는 법적 해석이 지배적이라는 게 비대위 측 입장이다.
실제로 현대카드를 시작으로 현대차증권, 신영증권, 하나증권, 롯데카드, 유진투자증권 등 복수의 금융기관들은 “상거래채권으로 인정돼야 한다”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비대위는 “그동안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는 수많은 거짓 약속과 기만적인 책동으로 피해자들과 이해관계자들의 속을 태우고 있다”며 “더 이상 거짓말로 상황을 모면하지 말고, 진정성있는 자세로 사태 해결에 나서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에 대해서는 “홈플러스 법정관리인인 김광일 대표는 인가 전 M&A가 진행 중인 지금이라도 조기 변제 허가를 신청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