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완수 웹케시 부회장은 10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한 '금융 AI 에이전트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웹케시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모든 제품의 AI화’를 선언하고, 이에 따른 전사적 조직 개편과 업무 방식의 재설계를 추진할 방침이다.
먼저, 개발자는 코딩에서 학습용 데이터 설계자로, 기획자는 화면 중심 업무에서 학습 컨설턴트로 역할이 전환된다. 퍼블리싱과 디자인 조직 역시 기능 중심으로 재배치되며, 조직 전반을 AI 생태계에 맞춰 재편할 계획이다. AI 전담 조직인 ‘AI센터’는 직원을 100명까지 늘려 운영할 계획이다.
행사 당일 시범 오픈한 ‘브랜치Q’를 시작으로, 웹케시는 연내 전 주력 제품을 AI 기반으로 전환해 금융 AI 에코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는 단순한 제품 업그레이드가 아닌, 금융 소프트웨어 생태계 전체를 재정의하는 시도라는 설명이다. AI브랜치 신제품은 이달 내로 시범 오픈을 할 예정이며, 빠르면 8월 내로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윤 부회장은 "올해 내로 1개 은행에 조회 수준의 AI 에이전트 뱅킹을 도입할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한다"며 "빠르면 올해 안에 AI CFO를 계좌 잔액 조회 등 단순 은행 업무를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강원주 웹케시 대표는 “AI가 금융 업무 전반을 자동화하고, 경영자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며 “웹케시는 국내 최초로 모든 B2B 핀테크 제품을 AI 에이전트 기반으로 재구성하는 제2의 창업 수준의 전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브랜치, 인하우스뱅크, AI경리나라 등 주요 기업자금관리 솔루션을 AI 에이전트 기반으로 전환한다고 밝히며, 이를 통해 새로운 금융 업무 패러다임 변화를 제시했다.
김다민 한국금융신문 기자 dmkim@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