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적 지원·육아 친화적 근무환경 조성
우선 국민은행은 출산·육아 관련 경제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출생 장려금’의 경우 자녀 1명당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1000만원, 둘째 1500만원, 셋째 이후는 2000만원이 제공된다.
배우자 출산휴가는 10일에서 20일로 확대됐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도 신청 대상을 기존 ‘9세 이하’에서 ‘12세 이하 자녀 부모직원’으로 확대해 직원들의 육아 부담을 경감했다.
또한 2023년 말부터 금융권 최초로 ‘재채용 조건부 퇴직제도’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상품부터 인프라까지…저출생 전방위 대응
국민은행은 임직원 복지 외에도 금융상품과 지역 인프라 등 다방면에서 저출생 극복을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으로 ‘KB아이사랑적금’은 워킹맘 직원들이 실제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기획한 상품으로. 금융감독원이 선정한 상생·협력 금융 신상품 우수사례로 올해 1월에 선정됐다.
이환주닫기

또한 KB금융그룹은 지난 2018년부터 총 1250억원을 지원해 전국 2265개 국공립 병설유치원 및 초등돌봄교실을 신·증설했으며 오는 2027년까지 전국 48개의 ‘거점형 늘봄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상공인의 출산을 장려하고 경영 부담을 완화하고자 서울시 등 전국 주요 지방자치단체와 업무협약을 맺고 약 140억원을 투입해 소상공인들의 출산·양육 환경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이환주 KB국민은행장은 “KB국민은행은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기업문화가 정착되도록 다양한 복지 제도를 지속 운영하겠다”며 “앞으로도 저출생 극복이란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상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에 더욱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우한나 한국금융신문 기자 hann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