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금융신문이 금융감독원 회사채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투자증권은 단독 대표주관을 맡은 흥국화재 5회(2000억 원)와 KB증권과 공동 대표주관한 동화기업 23회(600억 원)의 수요예측에서 목표액을 채우지 못했다. 이로써 3월 및 1분기 연속 미매각 물량이 가장 많은 주관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 조사는 일반 회사채와 자본성증권(후순위채, 신종자본증권)을 대상으로 했으며, 은행채, 여신전문금융채, 자산유동화증권(ABS) 및 수요예측을 거치지 않은 거래는 제외했다. 주관실적은 대표주관한 트랜치별 발행금액을 주관사 수로 나눠 산정했다.
주관 실적, NH투자증권 독주 체제

먼저 3월 주관실적은 NH투자증권이 1조 7890억 원(22.5%)의 실적으로 정상을 차지했다. 한국투자증권이 1조 6483억 원, KB증권 1조 4298억 원, 신한투자증권 1조1748억 원 등 총 4개사가 1조 원을 초과하는 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SK증권이 7250억 원의 실적으로 5위를 차지한 가운데 상위 2개사의 점유율은 43.3%, 상위 5개사 점유율은 85.2%에 달했다. 상위업체의 실적 집중화 현상이 점점 고착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분기기준으로도 NH투자증권은 전체 발행액 32조 2720억 원의 20.3%에 해당하는 6조 5531억 원의 실적으로 1위에 올랐다. KB증권 6조 1792억 원(19.2%), 한국투자증권 4조 5724억 원(14.2%), 신한투자증권 4조 925억 원(12.7%)이 4조 원을 넘었고, SK증권이 3조 2715억 원(10.1%)이 5위를 차지했다. 상위 5위권 내에서 월별, 부문별로 일부 순위 변동은 있었으나 5위권까지는 이들 5개사의 순위가 고착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KB증권은 대표주관을 맡은 거래의 수요예측에서 10배 이상(8건, 3788억 원)과 5배 이상(15건, 7652억 원) 모집 실적이 가장 좋았다. NH투자증권은 10배 이상에서 3063억 원(7건)으로, 한국투자증권은 5배 이상(11건, 5828억 원)에서 KB증권의 뒤를 이었다.
인수 실적, KB증권 모처럼 웃다
인수 부문에서 보면 우선 3월은 KB증권이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을 제치고 모처럼 활짝 웃었다. 총 1조 3570억원의 실적을 올렸고, 다음으로 한국투자증권(1조 2260억 원)과 NH투자증권(1조 1725억 원), 신한투자증권(1조 500억 원)이 1조 원을 넘기며 뒤를 이었다. 상위 4개사의 실적이 4조 8055억 원으로 전체의 60.3%를 차지한 가운데, 상위 10개사로 넓혀보면 7조 25억 원으로 87.9%에 달했다. 2월과 비교해 볼 때 상위 4개의 점유비는 52.5%에서 60.3%로 상위 10개사는 83.5%에서 87.9%로 증가하는 등 실적 집중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1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NH투자증권이 5조 2216억 원으로, 4조 8877억 원의 KB증권을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한국투자증권(3조 8792억 원)과 신한투자증권(3조 4365억 원)이 3조 원 이상의 실적을, SK증권은 2조 5855억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상위 5개사가 20조 105억 원의 실적으로 점유비는 62%였다. 상위 10개사가 1조 원 이상의 실적을 올린 가운데 이들의 점유율은 85.4%에 달하는 등 역시 소수 대형사에 대한 실적 편중이 심했다.
상위 대형사 독점의 그림자, 시장 건전성 우려
이처럼 특정 대형사들에게 실적이 집중되는 현상은 회사채 시장의 건전한 경쟁 환경을 저해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러한 집중화는 중소형 증권사들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뿐 아니라, 발행기업들의 조달 비용 증가와 투자자 선택권 제한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한 특정 대형사에 의한 시장 지배는 신규 진입자의 성장 기회를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시장 혁신과 다양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3월 전체 수요예측 경쟁률 면에서는 평균 5.18대 1 수준으로 하락, 지난 1월과 2월(6.73대 1, 5.97대 1) 대비 열기가 식은 모습이었다. 이는 연초 대기 수요가 대부분 소화되었고, 홈플러스사태, 금융당국의 캡티브영업 현장검사 시사 등의 영향으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우량 등급을 제외하면 모집금액 미달 사례도 속출하고 있으며, 일부 발행사는 수요예측 없이 사모 방식으로 조달 방식을 전환하기도 했다.
시장 관계자는 "3월 말 기준으로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면서, 국내 금리도 하향 안정세에 제동이 걸렸다"며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의 수요예측 참여도 보수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전했다.
두경우 한국금융신문 전문위원 kwd1227@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