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한상현 기자] 소규모 주택개발사업을 위해 출범한 대우건설 자회사 대우에스티가 모회사 최대 골칫거리로 전락했다. 수익성 악화와 품질 관리 논란이 잇따르면서다. 올해 도시정비사업 수주를 추진하는 대우건설에 자회사 리스크는 해소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보인다.
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우에스티는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와 서울시에 제재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8월 13일 부당특약을 사유로 대우에스티에 벌점을 부과했다. 하도급법 제3조의 4(부당한 특약의 금지)를 근거로 했다는 설명이다.
또한, 서울시는 지난 9월 13일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을 이유로 대우에스티에 과징금 1200만원 처분을 내렸다. 근거 법령은 건설산업기본법 제82조 제2항 제5호다. 대우에스티는 지난 9월 30일 과징금을 납부했지만, 추후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대우건설 측은 재발 방지를 위해 감사실을 주축으로 담합·뇌물공여 등 위반 사례를 알리고, 온·오프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우에스티는 대우건설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완전자회사다. 지난해 6월 4일 대우건설 이사회는 '자회사(대우에스티)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대여금 지급의 건'을 당시 이사 8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한 바 있다.
문제는 대우에스티가 모회사 대우건설 재무 건전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대우에스티의 연결기준 매출은 334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22.85% 떨어졌다. 순손실은 379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2022년 말 72.6%였던 대우에스티의 부채비율은 2023년 말 140.7%로 올랐고, 2024년 말에는 396.4%로 나타났다. 통상 부채비율이 200%를 넘으면 위험 신호로 간주된다. 부동산 경기침체로 공사비 회수가 지연되면서 재무 건전성이 악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2020년 철골 제조업체 대우에스티는 시공·임대운영관리업체 푸르지오서비스를 흡수합병한 바 있다. 소규모 주택개발사업 공략이 목적이었다. 대우에스티는 현재 수주한 사업장들을 정리한 후에 중소형 주택사업을 추가 수주하지 않고 기존 철골 사업을 바탕으로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예정이라는 게 대우건설 측 설명이다.
한상현 한국금융신문 기자 hsh@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