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영풍이 올해 3분기까지 새롭게 쌓은 환경 관련 충당부채는 1억3232만원이다.
그런데 영풍은 지난 3분기 영업손실 203억원의 원인으로 연간 1000억원의 환경개선 투자를 꼽았다. 1억원에 불과한 추가 충당부채와 대외설명이 맞지 않는다는 업계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추가 충당부채를 영업외비용으로 인식했다 해도 순이익 급감 요인으로 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영풍은 환경개선 분야 충당부채 등 대외적으로 환경개선 사업에 매년 1000억원 이상씩 투자했다는 설명을 둘러싸고 진위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실제 영풍은 2020년에 처음으로 토지 정화와 석포제련소 주변의 하천 복구를 위해 총 608억원의 충당부채를 설정했다. 이후 환경오염물질 처리와 지하수 정화·복구 비용이 추가되면서 2021년에 806억원, 2022년에 1036억원, 2023년에 853억원, 2024년에 1억원의 충당부채를 추가로 설정했다. 이는 연평균 661억원 규모다. 영풍이 밝혀온 ‘매년 1000억원 이상’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임 의원실 관계자는 "잔재물 처리 속도가 너무 느려, 내년 말까지 잔재물을 전부 처리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지난 2022년 말 환경부는 석포제련소에 통합환경허가를 내주면서 2025년 말까지 제련 잔재물을 모두 처리할 것을 요구했다.
업계 관계자는 "영풍은 석포제련소의 환경 오염 논란이 발생할 때마다 '환경 개선 사업에 7000억 원 투자하고 있다'는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숫자를 들며 억울함을 호소한다"며 "어떤 과정을 통해 환경 개선 사업비를 7000억원으로 책정했는지, 매년 어디에 쓰고 있는지, 그 효과는 무엇인지 소상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했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