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논란은 강성두 영풍 사장이 모 매체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MBK와 설립 중인 펀드가 10년(운영)을 확약했다"며 "단기에 엑시트 할 수 없다"고 말하며 시작했다.
이에 영풍은 "강 사장이 해당 인터뷰에서 'MBK가 10년간 고려아연 주식을 못 판다'고 명시적으로 말한 게 아니다"며 "사모펀드의 투자가 장기화되고 있는 것이 트렌드라는 점 등을 설명하며 MBK의 이번 투자는 '장기적인 투자'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업계에서는 "영풍이 MBK에 대한 아무런 강제 장치나 법적 근거 없이 10년간 장기투자를 할 수밖에 없는 것처럼 이야기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결국 이번 논란 핵심은 공개된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MBK의 고려아연 주식 의무보유 기간, MBK·영풍간 콜옵션과 풋옵션 등이 불분명하다는 지적이다. 만약 MBK 6호펀드에 출자한 해외 LP들이 문제제기에 나설 경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B(투자은행)업계 관계자는 "강 사장의 '10년 확약' 발언은 MBK에 투자한 LP들 입장에서는 굉장히 황당해 할 만하다"며 "본인 돈이 10년 동안 묶여 있는 걸 좋아할 만한 LP들은 없다"고 말했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