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이 10일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국회방송 갈무리
[한국금융신문 홍지인 기자] 임종룡닫기임종룡기사 모아보기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손태승닫기손태승기사 모아보기 전 회장의 친인척 부당 대출과 관련해 이복현닫기이복현기사 모아보기 금융감독원장이 현 경영진 책임론을 강조한 데 대해 “금감원장이 우리금융 인사에 개입했다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임 회장은 10일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렇게 발언했다.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은 “우리은행 사태는 정권의 금융기관 인사 개입 사건”이라며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을 회장 자리로 임명하는 상당한 영향력이 있었고 이복현 원장의 힘이 작용했다”고 추측했다.
이어 “이제 이 원장이 임종룡 회장을 내몰고 있다”며 “이 원장이 담당 국장을 불러 이번에 임 회장을 못 내보내면 우리가 옷 벗어야한다는 이런 전언이 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금감원장이 특정 금융회사 인사에 깊이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임 회장은 “금감원장이 우리금융 인사에 개입한다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고 못을 박았다. 그는 “최근 금감원장의 우리금융에 대한 언급은 이번 부당 대출 사건을 계기로 해서 기업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내부 통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답변했다.
더불어 “이에 대한 경영진의 각성 그리고 쇄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신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이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언급했다.
이미지 확대보기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이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국회방송 갈무리
이 의원은 우리금융 사태를 정부가 모피아(기획재정부 출신 인사)를 몰아내는 개입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의원은 ““우리은행 사태는 검사와 모피아의 주도권 싸움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며 “용산이 검사 출신 금감원장을 통해 모피아와 밥그릇 싸움을 벌이고 신관치 논란을 일으키며 인사 개입하는 걸로 보여지고 있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임 회장은 '잘못이 있으면 사퇴하는 게 맞는 것이냐'는 지적에 "제가 잘못해서 책임져야 할 일이 있으면 책임을 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임 회장은 주요 금융그룹 회장 중에서 처음으로 국감 증인으로 출석했다. 앞서 2010년 라응찬 당시 신한금융그룹 회장과 지난해 윤종규닫기윤종규기사 모아보기 당시 KB금융그룹 회장이 각각 정무위 국감 증인으로 채택됐으나 모두 불출석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