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은 오는 27일경 계열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대추위)를 열고 올해 말 임기가 만료되는 5개 계열사 대표 선임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KB금융 대추위는 통상 국민은행장 임기 만료 2개월 전 차기 후보 선정 기준을 수립하고 임기 만료 한 달을 앞둔 시점에 최종 후보를 선정한다. 다른 계열사 CEO의 경우 임기 만료 한 달 전 경영승계를 위한 후보자군을 확정한 뒤 임기 만료 2주가량을 앞두고 단수 후보를 추천한다.
올해는 금융감독원의 ‘은행지주·은행의 지배구조에 관한 모범관행’을 반영해 은행장 임기 만료 3개월 전부터 경영승계 절차를 개시할 예정이다. 금감원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모범관행은 차기 CEO 선임 시 현직 CEO 임기 만료 최소 3개월 전에 경영승계 절차를 개시하도록 명문화하고, 단계별 최소 검토 기간을 두도록 했다.
이번 계열사 CEO 경영승계는 지난해 11월 양 회장 취임 이후 두 번째로 실시하는 인사다. 앞서 KB금융 대추위는 작년 12월 취임 후 첫 계열사 대표 인사를 통해 임기 만료 8개 계열사 9명의 CEO 중 6명을 새로 선임했다. 장기 재임 대표 위주로 세대교체를 단행하면서도 은행과 카드 등 핵심 계열사 CEO는 유임을 결정해 ‘안정 속 쇄신’ 기조를 택했다.
실적 측면에서 보면 이 행장의 연임 가능성은 높게 평가된다. 국민은행은 올해 상반기 순이익으로 1조5059억원을 기록했다. H지수 ELS 손실 관련 보상 비용을 충당부채로 전입하면서 영업외손실이 큰 폭 늘어난 영향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19.0% 급감했지만 영업이익은 2조8620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4.9% 끌어올렸다.
이 행장 취임 후 국민은행이 순이익 성장세를 이어온 점 등을 고려하면 추가 1년 임기를 부여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 행장 취임 전인 2021년 2조5908억원을 기록했던 국민은행의 순이익은 2022년 2조9960억원, 2023년 3조2615억원으로 증가했다.
디지털 성과도 긍정적이다. 양 회장은 ‘넘버원(No.1) 디지털 금융그룹’을 중장기 경영 목표로 설정하고 디지털 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를 주문하고 있다. 국민은행의 디지털 채널 상품 신규 비율은 올해 6월 기준 62%로 지난해 6월 58%에서 1년새 4%포인트 상승했다.
뱅킹 앱 ‘KB스타뱅킹’의 월간 회원 로그인 수는 2022년 6월 1005만명에서 작년 6월 1152만명으로 늘었고 올 6월엔 1241만명을 달성했다. KB스타뱅킹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지난 7월 기준 1260만명을 넘어섰다.
이 행장이 주요 은행장 중 가장 젊다는 점도 연임에 무게를 싣는 요소다. 1966년생인 이 행장은 취임 당시 ‘최연소 국내 은행장’이라는 타이틀로 주목받았다. 정상혁닫기정상혁기사 모아보기 신한은행장(1964년생), 이승열닫기이승열기사 모아보기 하나은행장(1963년생), 조병규 우리은행장(1965년생), 이석용 NH농협은행장(1965년생) 등 5대 은행장 가운데 이 행장의 나이가 가장 적다.
올 상반기 배임 사고와 홍콩 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등 내부통제 이슈는 변수로 꼽힌다. 국민은행은 주요 은행 가운데 H지수 ELS 판매 규모가 가장 많아 관련 손실 리스크도 컸다.
2022년 1월부터 국민카드를 이끌고 있는 이창권 대표도 이 행장과 함께 지난해 말 1년 연임에 성공해 2+1 임기를 채웠다. 이 대표 역시 국민카드의 실적 개선을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연임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민카드는 올해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32.6% 늘어난 255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썼다. 국민카드의 전체 회원 수(본인 기준)은 지난 7월 말 기준 1205만1000명으로 1년 전(1157만4000명)보다 4%가량 늘었다. 모바일 앱 KB페이의 MAU는 지난 7월 800만명을 돌파했다.
내년에도 불확실한 대내외 경영환경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양 회장이 핵심 계열사의 리더십을 유지하며 안정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지난해 인사에서 안정에 방점을 둔 KB금융이 올해는 핵심 계열사 CEO에 대해서도 세대교체를 택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부행장 24명 전원의 임기가 올해 말 만료된다. 이 중 19명이 이 행장보다 젊은 인물이다.
지난해 1월 취임한 이환주 KB라이프생명 대표와 김명원 KB데이터시스템 대표는 추가 1년 임기를 부여받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그간 KB금융은 계열사 CEO 임기를 최초 2년 보장 뒤 이후 1년을 추가로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해왔다.
KB증권의 경우 각자대표 체제가 유지될지 주목된다. KB증권은 2016년 말 현대증권과 KB투자증권 통합 이후 각자대표 체제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해왔다. 현재 김성현 대표가 IB부문을 맡고, 이홍구 대표가 WM부문을 담당하고 있다.
김 대표의 경우 지난 2019년 취임 이후 4연임에 성공해 6년째 회사를 이끌고 있다. 이 대표는 올해 새로 취임해 1년 임기를 보내고 있다.
한아란 한국금융신문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