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06.29(토)

DQN4대 은행 수익성 1위는…ELS 손실 비껴간 ‘우리은행’ [은행 수익성 분석①]

기사입력 : 2024-06-28 08:00

(최종수정 2024-06-28 11:06)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ad

올 1분기 4대 시중은행 ROA·ROE 일제히 하락
ELS 배상 여파…ELS 배상 규모 적은 우리銀 ‘톱’
신한·하나·국민은행 순…2분기 수익성 회복 전망

[DQN] 4대 은행 수익성 1위는…ELS 손실 비껴간 ‘우리은행’ [은행 수익성 분석①]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금융신문 한아란 기자] 4대 시중은행의 올해 1분기 수익성이 홍콩 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배상 여파로 일제히 악화된 가운데 가장 높은 총자산순이익률(ROA)을 기록한 곳은 우리은행으로 나타났다. 타 은행 대비 상대적으로 총자산 및 H지수 ELS 배상 규모가 작았던 영향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 순위 역시 우리은행이 선두를 차지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하나은행의 수익성 개선세가 가팔랐다. 공격적인 대출 영업으로 자산을 빠르게 불리며 순이익을 늘린 결과다.

28일 한국금융신문이 4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의 수익성 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들 은행의 올 1분기 기준 ROA 평균은 0.41%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평균 0.56%보다 0.15%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ROA는 당기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눈 수치로 총자산을 이용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 측정하는 지표다.

4대 은행의 ROA가 일제히 하락한 건 올 1분기 홍콩 H지수 ELS 손실 고객 보상 비용을 충당부채로 반영하면서 영업외손실이 상당 규모로 발생한 영향이다. 이들 은행은 대규모 손실이 발생한 H지수 ELS와 관련해 지난 4월부터 자율 배상 절차를 밟고 있다. 올 1분기 ELS 배상 금액을 영업외비용으로 인식한 규모는 국민은행 8620억원, 신한은행 2740억원, 하나은행 1799억원, 우리은행 75억원 등이다.

상대적으로 ELS 배상 규모가 작은 우리은행은 4대 은행 가운데 가장 높은 ROA를 기록했다. 우리은행의 1분기 ROA는 0.70%였다. 1년 전과 비교하면 0.08%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우리은행의 1분기 순이익(이하 세후 손익 기준)은 75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줄었다. 4대 은행 중에서는 신한은행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은 규모다. 우리은행은 1분기 비이자이익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8% 증가한 2640억원을 기록했고, H지수 ELS 판매 잔액이 적어 관련 손실이 제한적이었다.

자산 규모는 4대 은행 중 우리은행이 가장 적다. 우리은행의 올 3월 말 총자산(기말 잔액 기준)은 517조7874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494조2412억원)에 비해 4.8% 늘었다.

신한은행의 1분기 ROA는 1년 전보다 0.06%포인트 낮아진 0.65%로 우리은행 다음으로 높았다. 신한은행은 1분기 순이익으로 7684억원을 올렸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3.1% 감소했으나 4대 은행 중 가장 많은 순이익 규모다. 신한은행은 이자이익이(2조1841억원) 9.1% 늘었지만 비이자이익(2213억원)의 경우 15.4% 줄었다.

자산 규모는 국민은행 다음으로 가장 많다. 신한은행의 3월 말 총자산은 605조6491억원으로 전년 동기(551조5537억원) 대비 9.8% 늘었다.

하나은행의 ROA는 작년 1분기 0.80%에서 올 1분기 0.63%로 0.17%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9106억원에서 7516억원으로 17.5% 감소했다. 총자산의 경우 563조7739억원에서 589조7450억원으로 4.6% 증가했다.

KB국민은행의 1분기 ROA는 전년 동기 대비 0.37%포인트 낮아진 0.30%로 4대 은행 중 가장 낮았다. 국민은행은 ELS 배상 비용을 8620억원 규모로 반영하면서 순이익이 지난해 1분기 8222억원에서 올 1분기 3892억원으로 반토막났다.

순이익은 4대 은행 중 가장 적은 수준으로 떨어진 가운데 자산 규모는 가장 크다. 국민은행의 총자산은 같은 기간 573조1405억원에서 623조6095억원으로 8.8% 증가했다.

4대 시중은행 수익성 지표 현황 
        (단위: 억원, %)
금융회사명항목19Y20Y21Y22Y23Y 23Y1Q24Y1Q
국민은행실질총자산(평잔)3,656,4904,092,1764,387,5484,885,8045,041,255 --
자기자본(평잔)277,750294,552315,914325,716350,609 --
세후당기손익24,21722,67025,63429,08230,012 8,2223,892
총자산순이익률(ROA)0.660.550.580.600.60 0.670.30
자기자본순이익률(ROE)8.727.708.118.938.56 9.914.39
명목순이자마진(NIM)1.671.511.581.731.83 1.791.87
신한은행실질총자산(평잔)3,488,2123,789,4344,130,2184,524,2974,619,781 --
자기자본(평잔)244,280257,722270,243279,856302,374 --
세후당기손익20,71218,26221,52926,31926,121 7,9287,684
총자산순이익률(ROA)0.590.480.520.580.57 0.710.65
자기자본순이익률(ROE)8.487.097.979.408.64 10.9610.15
명목순이자마진(NIM)1.541.371.411.631.62 1.591.64
하나은행실질총자산(평잔)3,384,1423,654,4713,943,2404,436,0924,687,419 --
자기자본(평잔)243,791254,397265,893276,133296,913 --
세후당기손익20,84418,66623,80129,86032,922 9,1067,516
총자산순이익률(ROA)0.620.510.600.670.70 0.800.63
자기자본순이익률(ROE)8.557.348.9510.8111.09 12.869.98
명목순이자마진(NIM)1.491.341.411.621.59 1.681.55
우리은행실질총자산(평잔)3,275,2803,469,2793,739,2914,144,4204,212,871 --
자기자본(평잔)214,169224,668233,657234,878244,460 --
세후당기손익17,90813,09521,52325,47422,771 7,9987,576
총자산순이익률(ROA)0.550.380.580.610.54 0.780.70
자기자본순이익률(ROE)8.365.839.2110.859.31 13.3712.26
명목순이자마진(NIM)1.441.331.371.591.56 1.651.50
(자료=금융감독원, 각사)   

4대 은행의 올 1분기 ROE 평균은 6.68%로 지난해 1분기(9.06%) 대비 2.38%포인트 하락했다. ROE는 당기순이익을 자본총계로 나눈 값으로,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낸다.

ROE가 가장 높은 은행 역시 12.26%를 기록한 우리은행이었다. 이어 신한금융(10.15%), 하나은행(9.98%), 국민은행(4.39%) 순으로 높았다.

작년 1분기와 비교하면 국민은행의 ROE는 5.52%포인트 떨어져 하락 폭이 가장 컸다. 하나은행은 2.88%, 우리은행은 1.11%포인트 낮아졌다. 신한은행의 ROE 하락률은 0.01%포인트에 그쳤다.

2분기부터는 4대 은행의 수익성이 회복될 전망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들 은행이 1분기 H지수 ELS 관련 비용을 일회성 요인으로 털어낸 만큼 2분기부터는 실적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4~5월 은행 대출성장률이 양호하고, 2분기 NIM 하락 폭도 그다지 크지 않은 데다 홍콩 ELS 충당금 환입 발생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2분기 실적은 시장의 우려와 달리 컨센서스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내다봤다.

은경완 신한증권 연구위원은 “지난 몇 년간의 각종 추가 충당금 적립과 상반기 상생금융, ELS 등 굵직한 비용들을 털어낸 만큼 하반기 실적은 편안한 분위기”라고 말했다.

연간 기준으로 보면 하나은행이 수익성을 빠르게 개선시키며 두각을 나타냈다. 하나은행의 ROA는 2019년 0.62%에서 2020년 0.51%로 하락했으나 2021년 0.60%로 회복했다. 2022년에는 0.67%를 기록한 뒤 지난해에는 0.70%를 돌파했다.

순이익은 2019년 2조844억원에서 2020년 1조8666억원으로 줄었다가 2021년 2조3801억원으로 늘었다. 2022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2조9860억원, 3조2922억원을 기록해 리딩뱅크 자리를 차지했다.

하나은행은 공격적인 대출 영업을 통한 자산 확대 전략으로 순이익을 늘리고 있다. 하나은행의 총자산은 2019년 338조4142억원, 2020년 365조4471억원, 2021년 394조3240억원, 2022년 443조6092억원으로 늘었다. 지난해에는 468조7419억원을 기록해 신한은행을 제치고 자산 규모 기준 2위에 올랐다.

국민은행의 ROA는 2020년 0.55%에서 2021년 0.58% 올랐고 2022년 0.60%를 기록한 뒤 2023년 같은 수치를 유지하며 견조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신한은행의 경우 같은 2020년 0.48%에서 2021년 0.52%, 2022년 0.58%까지 상승했으나 지난해 0.57%로 하락했다. 우리은행은 2020년 0.38%에서 2021년 0.58%로 ROE가 크게 뛴 뒤 2022년 0.61%까지 상승했으나 작년 0.54%로 뒷걸음질쳤다.

하나은행은 ROE 역시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하나은행의 ROE는 2020년 7.34%에서 2021년 8.95%로 올랐고 2022년에는 10.81%를 기록하며 10%대를 돌파했ㄷ. 지난해에는 11.09%를 기록하며 4대 은행 1위에 올랐다.

[DQN] 4대 은행 수익성 1위는…ELS 손실 비껴간 ‘우리은행’ [은행 수익성 분석①]이미지 확대보기


*DQN(Data Quality News)이란
한국금융신문의 차별화된 데이터 퀄리티 뉴스로 시의성 있고 활용도 높은 가치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고품격 뉴스다. 데이터에 기반해 객관성 있고 민감도 높은 콘텐츠를 독자에게 제공해 언론의 평가기능을 강화한다. 한국금융신문은 데이터를 심층 분석한 DQN를 통해 기사의 파급력과 신인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한아란 한국금융신문 기자 ara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한아란 기자기사 더보기

[관련기사]

금융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