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06.26(수)

KB증권, ECM 강화 결실…진정한 ‘IB 명가’ 도약 기대

기사입력 : 2024-06-17 00:00

(최종수정 2024-06-17 20:35)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ad

리서치 기반 합리적 정보 제공…부동의 ‘DCM 1위’ 지속

2024년 6월 14일 기준 국내 증권사 공모 회사채 주관 규모 Top3(단위:억 원)./출처=블룸버그이미지 확대보기
2024년 6월 14일 기준 국내 증권사 공모 회사채 주관 규모 Top3(단위:억 원)./출처=블룸버그
[한국금융신문 이성규 기자] 부채자본시장(DCM) 전통 강자인 KB증권이 주식자본시장(ECM) 부문에서도 그 결실을 맺고 있다. 기업금융(IB) 전반에 대한 강화에 나서면서 명실상부한 IB명가로 입지를 굳히는 양상이다.

16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KB증권은 올해 DCM 전체 기준으로 총 9조5906억원 어치의 주관업무를 담당해 한국투자증권(7조2276억원), NH투자증권(6조8217억원) 등 주요 경쟁사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공모회사채 부문에서도 8조2057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공모회사채는 DCM 부문에서도 ‘꽃’으로 꼽히며 주관사들의 경쟁도 치열하다. 지난 10년간 KB증권은 공모회사채 주관 부문에서 1위 자리를 고수해 왔다.

KB증권은 그동안 DCM 부문에서 전통적 강자로 군림해왔다. 김성현닫기김성현기사 모아보기 KB증권 사장은 이전 IB총괄본부장을 역임하면서 DCM 강화에 힘썼다. 오랜 기간 호흡을 맞춘 주태영 IB총괄본부장(전무)과 DCM부문의 성장을 견인했다. 주 본부장 역시 DCM 분야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운 인물이다.

이처럼 KB증권이 DCM부문에 집중한 데에는 오랜 기간 여러 기업 및 투자자들과 다져온 끈끈한 네트워크가 한 몫 했다. 부채자본시장(DCM)은 주식자본시장(ECM)과 달리 매년 꾸준히 부채성 자본을 조달해야 하는 시장이다. 기업 입장에서 볼 때 주관사 등 ‘파트너’ 선정이 상당히 중요하다. 특히 금리가 상승하고 시장 유동성이 줄어드는 등 비우호적 자금 조달 환경이 조성되는 시기에 직면하는 경우 주관사의 역량이 성패를 좌우한다.

KB증권이 오랜 기간 DCM 부문에서 강자로 군림할 수 있었던 또 다른 까닭은 트랙레코드와의 신뢰를 꼽을 수 있다. 기업과 투자자는 해당 주관사가 주요 딜(deal)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성사시켰는지 여부부터 우선적으로 살피게 된다. 자금조달 규모와 금리 등은 적정했는지, 그 결과 양측 모두 얼마나 만족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성공적 거래를 이끌기 위해선 주관사가 먼저 금리 수준과 시장 유동성 등을 정확히 분석해야 한다. 주관업무 과정과 그 결과가 하나씩 쌓이면서 현재의 자리까지 오르게 된다. 최근, KB증권이 담당한 공모 회사채 수요예측에서는 미매각이 다수 발생했다. 대부분이 총액 인수 방식으로 진행된다. 추가청약이나 리테일에서 판매가 없을 경우 KB증권이 물량을 떠안아야 한다는 부담감이 따른다. 실제, KB증권이 소화해야 할 미매각 물량만 1500억원 규모에 달한다. 다만, 자기자본 대비 부담이 크지 않아 물량을 전량 보유해도 유동성 문제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미매각 우려속에서도 KB증권은 적극적으로 주관 업무를 맡아 왔다. 이는 '네크워크'와 '신뢰'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지닌 탓이다. 특히 '어려운 시기에 기업들을 돕는 것'이 주관사의 역할이라는 생각이 밑바탕에 강하게 자리잡고 있어 가능했다.

다소 부족한 ECM 입지, 리서치 기반 강화 전략 주효

KB증권이 부채자본(DCM)시장에서 강자라는데에는 이견이 없다. 하지만 기업공개(IPO)를 중심으로 한 주식자본(ECM)시장에선 덩치에 비해 다소 미흡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지난 2021년 KB증권의 IPO 주관 공모총액은 1조5671억원으로 국내 IB 중 5위였다. 이듬해인 2022년에는 2조3963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2023년들어 2784억원으로 규모가 줄어 재차 5위에 랭크됐다.

올해 1분기만 해도 KB증권의 IPO 주관업무는 지난 1월 우진엔텍 상장을 주관한 것을 끝으로 개점 휴업 상태였다. 하지만 4월 들어 제일앰엔에스, 민테크에 이어 ‘올해 IPO 최대 대어’로 꼽히는 HD현대마린솔루션의 상장을 성공적으로 마무리시켰다.

2024년 6월 14일 기준 국내 증권사 IPO 주관 규모 Top3(단위:억 원)./출처=블룸버그이미지 확대보기
2024년 6월 14일 기준 국내 증권사 IPO 주관 규모 Top3(단위:억 원)./출처=블룸버그
올해 현재까지 KB증권의 IPO 인수 총액은 3526억원으로 한국투자증권(1764억원), NH투자증권(1351억원)에 앞섰다. KB증권은 또 다른 대어로 꼽히는 케이뱅크와 함께 MNC솔루션(두산모트롤) 주관 업무도 맡았다. 현재까지 진행된 상황만 놓고 보면 KB증권은 올해 말 쯤에는 IPO 주관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같은 긍정적 전망 도출에는 유승창 ECM 본부장에 대한 기대도 자리 잡고 있다. 유 본부장은 KB증권 리서치 센터장을 역임한 후 지난해부터 ECM 부문으로 자리를 옮겼다. ECM 업무에서 리서치는 기업 밸류 산정을 위한 비교 대상 기업을 선정하거나 향후 전망을 논하는 등 작업에 국한됐다. IB 업무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축적인 역할을 맡는 대신 일종의 참고 자료 제공 정도의 역할을 한 것이다.

하지만 최근들어 환경이 바뀌었다. 기관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에 대한 스토리와 전문적 자료를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리서치 범위에 대한 확대가 급격히 요구되고 있다. KB증권이 리서치를 기반으로 ECM 업무를 강화하게 된 배경도 이 때문이다. 특히. 네트워크에 기반해 IB업무를 주관해온 업무 방식에 대한 한계를 인식한 것도 한 몫 했다.

증권가 IB관계자는 “KB증권은 DCM부문의 전통적 강자다. 하지만 ECM에선 상대적으로 부족한 측면이 있다. 이에 김성현 KB증권 사장이 ECM 부문 강화를 위해 심사숙고했다. 김 사장은 오랜 고민 끝에 리서치부문을 해결책으로 낙점했다. KB증권이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리서치를 기반으로 역량 강화에 힘써 온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IB 전반에 걸쳐서 명가로 도약할 발판을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성규 한국금융신문 기자 lsk0603@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이성규 기사 더보기

[관련기사]

증권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