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3구의 상승 속도보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의 하락세가 더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침체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4년 2월 1주(2.5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6% 하락, 전세가격은 0.01% 상승을 기록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6%) 대비 하락폭 유지됐다. 수도권(-0.06%→-0.06%), 서울(-0.05%→-0.05%) 및 지방(-0.06%→-0.06%) 모두 하락폭 유지됐다.(5대광역시(-0.07%→-0.09%), 세종(-0.54%→-0.32%), 8개도(-0.04%→-0.03%)) 시도별로는 대구(-0.16%), 부산(-0.11%), 제주(-0.09%), 경기(-0.08%), 충남(-0.07%), 인천(-0.05%), 경남(-0.04%), 전북(-0.04%) 등은 하락, 강원(0.02%), 전남(0.01%)은 상승했다.
금천구(-0.07%)는 가산‧독산동 위주로, 강서구(-0.06%)는 염창‧마곡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동구(-0.05%)는 고덕‧성내동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0.05%)는 개포‧압구정동 구축 위주로, 서초구(-0.05%)는 잠원‧반포동 중대형 규모 위주로 하락하는 등 전지역에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인천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폭도 지난주와 마찬가지인 –0.05%를 유지했다. 서구(0.01%)는 마전‧청라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미추홀구(-0.14%)는 도화‧학익동 구축 위주로, 중구(-0.08%)는 중산‧항동 위주로, 부평구(-0.06%)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청천‧부평동 위주로, 계양구(-0.05%)는 효성‧계산동 위주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0%) 대비 상승 전환됐다. 수도권(0.05%→0.04%)은 상승폭 축소, 서울(0.06%→0.07%)은 상승폭 확대, 지방(-0.04%→-0.03%)은 하락폭 축소됐다.(5대광역시(-0.04%→-0.05%), 세종(-0.58%→-0.24%), 8개도(-0.03%→-0.01%)) 시도별로는 인천(0.08%), 충북(0.05%), 전북(0.05%), 대전(0.04%), 울산(0.04%) 등은 상승, 강원(0.00%)은 보합, 대구(-0.12%), 부산(-0.07%), 제주(-0.04%), 경북(-0.04%), 광주(-0.04%) 등은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폭은 지난주 0.06%에서 이번주 0.07%로 소폭 늘었다. 매매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한 매수대기자의 전세수요 전환과 기존 세입자들의 갱신계약 선택 비중이 증가하면서 학군‧역세권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매도자 우위 시장이 형성된 결과로 풀이됐다.
성동구(0.26%)는 성수‧옥수‧금호동 위주로, 광진구(0.16%)는 자양‧구의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대문구(0.16%)는 홍제‧북아현동 위주로, 은평구(0.15%)는 신사‧불광동 대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12%)는 답십리‧전농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금천구(0.11%)는 독산‧시흥동 위주로, 영등포구(0.10%)는 신길‧당산동 대단지 위주로, 동작구(0.10%)는 흑석‧사당동 위주로, 구로구(0.07%)는 구로‧고척동 위주로, 서초구(0.07%)는 잠원‧반포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 아파트 전세가격 역시 지난주 0.07%에서 이번주 0.08%로 상승폭이 소폭 늘었다. 중구(-0.21%)는 송월동1가·신흥동2가·운남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서구(0.17%)는 청라·신현·심곡동 위주로, 부평구(0.10%)는 갈산·청천·삼산동 위주로, 연수구(0.09%)는 송도·청학·동춘동 위주로, 남동구(0.06%)는 논현·간석동 위주로 상승했다.
반면 경기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폭은 지난주 0.05%에서 이번주 0.02%로 줄었다. 파주시(-0.27%)는 검산·동패동·문산읍 위주로, 오산시(-0.25%)는 갈곶·지곶동 위주로, 안성시(-0.16%)는 가사·아양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수원 팔달구(0.29%)는 화서·인계동 주요단지 위주로, 수원 영통구(0.25%)는 이의·매탄·영통동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21%)는 주엽·대화·탄현동 위주로 상승했다.
반면 지방 아파트 전세가격에서는 5대광역시 0.05% 하락, 세종 0.24% 하락, 8개도 0.01% 하락 등 일제히 하락세가 기록됐다. 다만 지난주 –0.58%의 급격한 하락폭을 기록했던 세종 아파트 전세가격은 이번주 –0.24%로 하락폭이 크게 줄었다.
김성환닫기

그는 “지난해 부동산시장의 급락을 막은 것은 특례보금자리론을 비롯한 정책금융의 힘이 컸는데, 올해도 신생아 특례를 비롯한 상품이 진입하고 있음에도 대부분이 대환으로 쓰이는 등 주택구매력 향상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며”며, “또 주택담보대출에 있어 스트레스DSR 등의 적용이 예고돼 추가적인 집값 상승을 기대하는 것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