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달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실시한 6개사(우진엔텍·HB인베스트먼트·현대힘스·포스뱅크·이닉스·삼익스튜디오)는 총 33조9191억원의 청약 증거금을 끌어모았다.
이닉스(대표 강동호)의 경우 23일과 24일 동안 총 10조4863억원의 증거금이 몰리며 가장 높은 액수를 기록했고 26일 일반 공모주 청약을 마친 삼익스튜디오(대표 최정석)는 5조7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해당 6개사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1812.64대 1로 지난해 평균 경쟁률(691대 1)보다 162% 이상 높은 수준이며 최근 5년(2017~2023년) 사이 연간 평균 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지난 2021년(1136대 1)보다도 약 60%가량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지난해 말부터 뜨겁게 달아오른 공모주 시장의 열기는 새내기주의 상장 당일 주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거래소(이사장 손병두닫기

다만 일각에서는 현재 국내 IPO 시장은 과열된 상태로 기업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단기 수익을 노린 투기성 자금이 몰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해 따따블을 기록한 종목들의 주가도 한 달 만에 급락하는 모습을 보여 투자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해 증시에서 상장 첫날 따따블을 기록한 3개 종목(케이엔에스·LS머트리얼즈·DS단석) 가운데 LS머트리얼즈를 제외한 2개 종목은 주가가 반토막 났다.
지난달 초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케이엔에스(KNS·대표 정봉진)는 상장 당일 공모가(2만3000원)보다 300% 오른 9만2000원에 거래를 마쳤지만, 이달 26일 기준으로는 53% 하락한 4만3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디에스(DS)단석(대표 한승욱, 김종완)의 주가도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입성 첫날 10만원에서 출발해 40만원으로 마감했지만, 현재는 20만2000원으로 49.5% 내렸다.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주금납입능력 확인’을 도입했다는 것 자체가 ‘수요예측’이라는 제도를 공모가의 적정 가격발견 기능보다는 ‘기관투자자의 우대배정’을 인정한 셈”이라며 “수요예측을 주금납입능력에 맞게 참여하도록 해 과당경쟁과 허수성 청약을 방지한다는 취지지만, 지금은 더 과당경쟁이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지금은 증시 전반적으로 주도 섹터가 없다보니 IPO 자체가 섹터가 돼 달려드는데, 공모주가 고평가로 상장돼 다시 또 고평가로 넘겨지다 보면 이 끝에 찾아올 것은 IPO 시장의 침체”라고 강조했다.
오광영 연구원도 “일부 종목에 대한 과도한 관심으로 인해 나타난 고평가 논란과 상장 이후 주가 흐름의 급격한 변화 등 여전히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이처럼 공모주에 대한 과도한 관심 증가는 한정된 공모주 수량으로 인해 결국 과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또한 오 연구원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대형 공모주의 상장 절차가 시작되면 공모주 투자 자금의 블랙홀 역할을 해 이후 공모주 시장의 수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한신 한국금융신문 기자 poch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