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투자협회(회장 서유석닫기

또 임 애널리스트는 “다만, 올해 상반기 사례에서 보듯이 추세적으로 금리가 하락하기 위해서는 중앙은행의 금리인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임 애널리스트는 “금리인하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물가라고 판단하며, 물가 경로를 고려하면 연준(Fed)과 한국은행은 내년 3분기에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봤다. 다만 그는 "우리나라는 공공요금 등으로 물가 안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 경우 인하 시점은 더 지연될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고 언급했다.
'2024년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발표한 이화진 현대차증권 애널리스트는 “2024년 크레딧 시장은 연초 기관투자자들의 자금 집행 수요와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스프레드 축소가 예상되며, 크레딧 스프레드는 짧은 연초 효과 이후 경기 둔화와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리스크에 대한 신용 경계감으로 횡보세를 나타낸 후, 하반기 금리 인하에 대한 선반영으로 완만한 축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이 애널리스트는 “신용등급은 내년 경기 둔화와 기업실적 회복 지연, PF대출 부실화에 따른 충당금 부담과 수익성 저하, 조달금리 상승에 따른 한계기업 증가로 상/하향 배율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이 애널리스트는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이자가 유예된 사업장의 비용 상승과 사업성 저하로 본PF 전환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고, 미국 상업용부동산 및 해외대체투자 손실 등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