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물은 쌓이는데 수요자들이 나타나지 않으며 서울 외곽이나 인천·경기 등은 이미 분양침체와 더불어 아파트값 하락 시그널까지 나타나고 있다.
주목할 부분은 수도권 아파트의 상승폭이 절반 수준으로 꺾였다는 부분이다. 서울은 10월 5주 0.07%에서 11월 1주 0.05%로, 경기는 0.08%에서 0.05%로 상승폭이 줄었고, 인천은 0.02%에서 –0.02%로 하락 전환했다. 지난 5월 1년 만에 상승전환을 이뤄낸지 불과 6개월여 만의 일이다.
서울의 경우 일명 ‘노도강’으로 묶이는 노원·도봉·강북의 부진이 눈에 띄었다. 노원과 강북은 –0.01%로 하락 전환했고, 도봉의 상승폭도 0.01%로 상승폭이 작았다. 구로구와 동작구 역시 보합 전환했다. 경기에서도 남양주·평택·이천 등 하락을 기록하고 있는 지역들이 점차 늘어나는 모양새였다. 인천은 중구와 연수구 등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지역이 하락세로 돌아선 상태다.
마포구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일주일에 (계약) 한 건만 쳐도 선방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라며, “전세나 월세 보러 오는 사람들은 종종 있는데 매매하러 왔다는 사람은 요 몇 달째 제대로 못 본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 8월 3860건으로 고점을 찍은 후, 9월에는 3367건으로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10월 거래량은 13일 현재 1923건에 그친 상태다. 해당 통계는 계약일 기준이므로 더 상승할 여지는 있지만, 매매거래 증가 속도가 특례보금자리론 축소 이후 눈에 띄게 줄어드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 한 전문가는 “정책대출이 떠받쳤던 부동산 시장이 가계대출이라는 폭탄 때문에 다시 얼어붙을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하는 한편, “강남3구 등 일부 지역의 집값이 전고점 수준으로 회복되면서 가격상승 피로감도 작용한 결과”라고 부연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